플래닛폴: 가상 행성 지도 제작 기술과 예술적 접근
카테고리
디자인
서브카테고리
지도 제작
대상자
GIS/지도 제작자, 게임 디자이너, 디자인/예술 분야 학생 및 관심자
핵심 요약
- Sid Meier’s Alpha Centauri 게임의 가상 행성 Chiron 지도를 고해상도 DEM(디지털 고도 모델)과 원기둥 등면적 투영법(cylindrical equal area projection)을 적용해 재현
- 8,192개 타일 수동 샘플링 및 TIN 보간법, rubbersheeting 보정 기법 등 복잡한 DEM 구축 프로세스를 통해 실제 지형 데이터와 유사한 비주얼 생성
- QGIS, Photoshop, Python 등의 툴과 Armstrong 투영법(orthoapsidal)을 활용한 심층 해저/육지 질감 표현과 Semi-painterly 필터 적용으로 미적 완성도 극대화
섹션별 세부 요약
1. 프로젝트 개요 및 데이터 기반
- Chiron은 1999년 게임 Alpha Centauri의 핵심 무대로, 128×64 다이아몬드 픽셀로 구성된 공식 맵 기반 작업
- 고도, 강수량, 암석지수 등 8,192개 타일 데이터를 수동 입력 및 샘플링 후, DEM 생성
- Xenofungus 분포는 픽셀 색상 샘플링 및 이진 데이터셋으로 구축
2. DEM 구축 및 보정 과정
- 랜덤 점 산포 → TIN 보간법 → 델로네 삼각분할 → 노이즈 추가 등의 반복적 과정을 통해 세밀한 고도 모델 생성
- 섬 연결, 해협 차단 등의 지형 왜곡 보정 및 rubbersheeting 기법 적용
- DEM 미비점(호수 누락, 작은 섬) 보완 및 최종 DEM 세밀화
3. 투영법 및 레이어 처리
- Cylindrical equal area projection (Trystan Edwards 공식) 적용으로 등면적 투영
- orthoapsidal(Armadillo) 투영법으로 지형 곡면성 강조
- DEM 래스터화 → 폴리곤화-재래스터 방식으로 벡터 투영 처리
- 심층해저(0m 이하): 블루 그라디언트 적용, 육지 질감: Swiss-style 손그림 시뮬레이터(Eduard) 활용
4. 미적 디자인 및 최종 조합
- 강수량 데이터 기반 thin plate spline 보간 → 초목 패턴화
- Xenofungus 분포: 적색 relief 및 그린 패턴 기법 적용
- 강: QGIS 수작업 곡선화 + Photoshop 탭퍼 효과
- 최종 연출: Semi-painterly 필터로 반회화적 느낌 생성
결론
- 게임 데이터 기반의 고해상도 지도 제작은 GIS/지도 제작자에게 기술적 도전의 사례이며, 팬덤에게는 미적 만족을 제공
- DEM 구축, 투영법 커스텀, 레이어 조립 등 수작업과 기술의 집약이 과정의 핵심
- 향후 확장 가능성: rockiness 데이터 등 추가 실험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지형 작업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