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로운 PNG 스펙 릴리즈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개발 툴
대상자
이미지 처리 개발자, 포맷 표준화 담당자, 소프트웨어 엔지니어
핵심 요약
- HDR 지원, APNG 애니메이션, Exif 메타데이터가 추가되어 PNG의 기능을 확장
- Adobe, Apple, Google 등 주요 기업과 W3C 공동 개발로 20년 만의 업데이트
- 하위 호환성 유지와 압축 기술 개선으로 실무 적용 가능성 확대
섹션별 세부 요약
1. PNG 사양 개요
- 20년 만에 HDR, APNG, Exif 공식 지원 추가
- Chrome, Safari, Photoshop 등 주요 프로그램에서 이미 지원
- 미국/캐나다/호주 등 주요 기관이 공식 권장 포맷으로 채택
2. 기술적 특징
- HDR: 4바이트 추가로 Rec. 2020 색 영역 지원
- APNG: Mozilla 제안, Firefox 지원 후 공식 사양 반영
- Exif: 저작권, 카메라 정보, GPS 등 메타데이터 저장 가능
3. 호환성 및 확장성
- 기존 PNG 청크 구조 유지, 새로운 청크 추가로 하위 호환성 보장
- IFF 2.0 표준 제안으로 범용 툴링 확장 가능성
- JSON 주석 필드 활용으로 도구 간 데이터 공유 지원
4. 경쟁 포맷과 비교
- JPEG XL의 고급 압축 기술(예: ZStandard)에 비해 실무적 채택성 우위
- AVIF, WebP 등 동영상 포맷과 비교해 간단한 애니메이션 경쟁력 확보
- GIF 대체 가능성으로 2000년대 웹 감성 부활 기대
5. 문제점 및 제안
- Exif 회전 처리의 디코더 불일치로 이중 회전 버그 발생
- JPEG XL 브라우저 지원 부족으로 생태계 확장 어려움
- IFF 2.0 표준 도입을 통해 PNG/IFF 호환성 개선 제안
결론
- HDR, APNG, Exif 지원으로 PNG의 실무적 활용 가능성이 확대됨
- JPEG XL 대비 생태계 채택성이 중요한 결정 요소로 작용
- IFF 2.0 표준 도입을 통해 포맷 간 호환성과 도구 생태계 확장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