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중 데이터베이스 지속성(Polyglot Persistence)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데이터 분석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데이터 엔지니어, 시스템 아키텍트
- 난이도: 중급 수준 (데이터베이스 선택 기준과 기술적 특성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SQL 데이터베이스는 ACID 특성과 고정된 스키마를 통해 데이터 일관성과 복잡한 트랜잭션을 보장 (
MySQL
,PostgreSQL
등) - NoSQL 데이터베이스는 유연한 스키마와 수평 확장성으로 대규모 비정형 데이터 처리에 적합 (
MongoDB
,Cassandra
등) - 혼합 접근(Hybrid Approach)은 SQL과 NoSQL의 강점을 결합해 복잡한 시스템(예: e-commerce)에서 최적화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SQL: 신뢰성과 트랜잭션의 기준
- ACID 특성 (
Atomicity
,Consistency
,Isolation
,Durability
)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 보장 - 고정된 스키마로 데이터 타입과 제약 조건 정의
- 복잡한 트랜잭션이 필요한 시스템(예: 금융, e-commerce)에 적합
- 대표 예:
MySQL
,PostgreSQL
,Oracle
2. NoSQL: 유연성과 확장성
- 유연한 스키마로 JSON, 키-값, 그래프 등 다양한 데이터 형식 지원
- 수평 확장성으로 대규모 데이터 처리 가능
- 빠른 읽기/쓰기 성능이 필요한 시스템(예: SNS, IoT, 분석)에 적합
- 대표 예:
MongoDB
,Cassandra
,Redis
,Neo4j
3. 혼합 접근: SQL과 NoSQL의 결합
- 트랜잭션 기능이 필수인 영역(예: 주문 정보)은 SQL 사용
- 유연성과 확장성이 필요한 영역(예: 제품 리뷰, 추천 시스템)은 NoSQL 사용
- 예: e-commerce 앱에서 SQL(결제 정보) + NoSQL(상품 데이터) 병행
4. 데이터베이스 선택 고려사항
- 데이터 유형: 정형/비정형/반정형 데이터에 따라 선택
- 데이터 규모: 대규모 데이터는 NoSQL, 중소규모는 SQL
- 트랜잭션 요구사항: ACID 필수 시 SQL, 유연성 우선 시 NoSQL
- 확장성: 수평 확장 필요 시 NoSQL
결론
- 데이터 유형, 트랜잭션 요구사항, 확장성을 기준으로 SQL/NoSQL 선택
- 혼합 아키텍처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최적화 가능
- 기술 트렌드와 프로젝트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조합 선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