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간 주도 AI 신뢰성 평가 기준 도입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성능보다 신뢰"…AI 안전성 평가 기준, 민간서 시작

카테고리

데이터 과학/AI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, 머신러닝

대상자

AI 개발자, 안전성 평가 담당자, 정책 입안자

핵심 요약

  • 민간 주도의 AI 신뢰성 인증 체계 AI-MASTER 도입
  • 유럽연합 '신뢰할 수 있는 AI' 7대 요구사항 기반으로 63개 항목 평가
  • 셀렉트스타의 '다투모 이밸' 자동화 평가 도구로 4대 항목 정량화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AI 신뢰성 인증 체계 도입

  •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(AIIA)가 AI-MASTER 인증 체계 론칭
  • 첫 인증 대상: 생성형 AI 스타트업 포티투마루의 'LLM42'
  • 셀렉트스타, 슈어소프트테크와 시험기관 협력

2. 평가 기준 및 방법

  • 유럽연합 '신뢰할 수 있는 AI' 7대 요구사항 + 국제표준 9종 적용
  • 63개 항목 평가 중 60% 이상 자동화 도구로 검증
  • 셀렉트스타 '다투모 이밸' 도입: 인간 감독, 기술 안정성, 투명성, 사회적 책임 4대 항목 정량화

3. LLM42 모델 특징

  • RAG42 기술로 환각 문제 줄이고 산업별 특화된 프라이빗 모드 구현
  • 비용 효율성 강화된 모델 학습 및 서빙 과정 평가 요소
  • 금융권 등 고신뢰 산업 활용 사례 포함

4. 향후 목표 및 확장 계획

  • 정부 R&D, 공공조달, 고영향 AI 지정 등 정책 연계 목표
  • 글로벌 상호인정 확장 추진
  • 삼성생명 등 금융 특화 AI 데이터 검증 프로젝트 진행 중

결론

  • AI-MASTER 인증은 민간 주도의 첫 정량 검증 시도로, 향후 정책 연계 및 글로벌 인증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
  • 셀렉트스타의 '다투모 이밸' 도입으로 AI 모델의 응답 품질 정량 분석 가능, 고신뢰 산업 적용 확대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