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품이 정말 위대하다면, 굳이 ‘좋을’ 필요가 없다
분야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, 기획, 스타트업
대상자
- 제품 기획자, PM, 스타트업 기업 설립자
- 제품 디자인 및 기능 설계에 참여하는 IT 전문가
-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는 개발자 및 팀 리더
핵심 요약
- 기능이 많을수록 더 좋은 제품*이라는 사고방식은 제품 성공의 오해를 낳는다.**
- 핵심 기능 세 가지*를 완벽하게 만드는 데 집중해야 제품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.**
- 부가 기능은 나중에 추가 가능하지만, 기본 기능이 매력적이지 않으면 성공하지 못한다.*
- 혁신적인 제품은 단순성과 집중력이 핵심이며, 복잡한 기능 덕분에 성공한 사례는 드물다.*
섹션별 세부 요약
1. 기능 중심 사고의 오류
- 기능이 많을수록 더 좋은 제품이라는 관념은 실패한 제품의 실수를 반복하는 결과를 초래한다.
- 성공적인 제품은 핵심 기능에 집중해야 하며, 복잡한 기능이 오히려 사용자 경험을 저해할 수 있다.
- 맥북의 키보드 제거 사례는 기능 중심 사고가 제품 성공을 방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.
2. 핵심 기능 집중 전략
- 새로운 제품 개발 시 3가지 핵심 기능을 정하고, 그 부분에 80% 이상의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.
- 핵심 기능은 제품의 본질과 가치를 정의하며, 나머지는 부수적인 요소로 간주된다.
- 예시: 페이팔의 성공은 단순한 결제 기능에 집중한 결과로, 복잡한 기능 추가보다 더 효과적이다.
3. 부가 기능과 사용자 경험의 균형
- 기능 추가는 유연하게 처리 가능하지만, 기본 기능이 매력적이지 않다면 아무리 많은 기능을 추가해도 실패할 수 있다.
- 사용자는 단순하고 직관적인 기능을 선호하며, 복잡한 기능은 오히려 사용성을 약화시킨다.
- 초기 버전에서는 핵심 기능에 집중해야 하며, 복잡한 기능은 이후 단계에서 점진적으로 추가해야 한다.
4. 시장별 전략 조정 필요성
- 구매자 요구사항이 길게 나열되는 시장에서는 기능 확장보다 빠른 출시와 사용성 개선이 우선시된다.
- 비즈니스 제품은 기능 다양성이 요구되지만, 소비자 제품은 단순성과 집중력이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.
결론
- *제품의 성공은 핵심 기능에 대한 집중도와 단순성에서 비롯된다.**
- 핵심 기능 3가지를 완벽하게 만들고, 나머지는 유연하게 처리해야 한다.
- 복잡한 기능 추가보다는 사용자 경험 개선에 집중하는 것이 실무 적용 시 핵심 팁이다.
- 시장의 특성에 따라 전략을 조정해야 하며, 초기 버전에서는 가장 중요한 기능에 모든 자원을 집중해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