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dantic을 활용한 LLM 출력 구조화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데이터 분석
대상자
- 대상자: LLM과 Pydantic을 사용하는 개발자, 데이터 과정에서 구조화된 출력이 필요한 엔지니어
- 난이도: 중간 (Python, Pydantic, LLM 기초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Pydantic을 활용한 런타임 데이터 검증 :
BaseModel
을 사용해 JSON 스키마 기반의 데이터 검증을 자동화 (예:Person
모델) - LLM의 구조화된 출력 생성 : MistralAI 등 LLM이 JSON 스키마를 지원하는
response_format={"type": "json_object"}
사용 - 자동 재시도 메커니즘 : 검증 실패 시
system_message
와prompt
를 개선해 최대 10회까지 재시도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정의 및 해결 방안
- LLM의 출력 문제: CSV 등 비정형 데이터 입력 시 필드 누락, 타입 오류 등 발생
- Pydantic의 역할:
BaseModel
을 통해 정의한 스키마에 맞는 데이터만 허용 (예:Person(name: str, age: int, email: str)
) - MistralAI 연동:
Mistral
API를 사용해 JSON 형식으로 출력 생성
2. Pydantic의 핵심 기능
- 런타임 타입 체크:
ValidationError
발생 시 상세한 오류 메시지 제공 - 자동 파싱/직렬화: JSON, 딕셔너리 등으로부터 자동 변환 (예:
json.loads(response)
후Person(**item)
) - 타입 힌트 통합:
BaseModel
정의 시str
,int
등 Python 내장 타입 사용 가능
3. 구조화된 출력의 중요성
- 데이터 일관성: 예측 가능한 형식으로 인해 DB, API 등과의 통합이 용이
- 보안 강화: 주입 공격, 데이터 손상 등의 위험 감소
- 자동화 가능성: 오류 처리 로직 최소화, 대규모 시스템 확장성 향상
4. 구현 예제
- CSV → JSON 변환 흐름:
example_incomplete.csv
파일 읽기Person.model_json_schema()
로 스키마 정의Mistral
API를 통해 JSON 배열 생성 (예:call_mistral_json_mode(prompt)
)json.loads(response)
로 파싱 후Person
모델 검증
- 재시도 로직:
- max_attempts = 10
로 설정
- system_message
에 "데이터 누락 시 추론" 지시 포함 (예: infer reasonable values
)
결론
- 핵심 팁: Pydantic을 통해 LLM 출력의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,
response_format
과retry
메커니즘을 결합해 실무에서의 신뢰성 향상 - 구현 예시:
Person
모델 정의,Mistral
API 호출,json.loads
+BaseModel
검증,while
반복을 통한 재시도 로직 적용 - 결론: 구조화된 출력은 AI 시스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전략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