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객체 타입의 핵심 개념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기초 개념
대상자
- 초보~중급 파이썬 개발자
- 타입 시스템 이해가 필요한 프로그래머
- 동적 언어의 타입 관리 원리 학습자
핵심 요약
- 모든 객체는 고유한 타입을 가짐 →
type()
함수로 확인 가능 (
등) - 타입은 객체의 행동을 결정 →
+
,len()
, 메서드 호출 가능 여부 판단 - 타입 시스템의 진화 →
type()
도입 (1991), 추상 기본 클래스 (2007), 타입 힌트 (2014) 등
섹션별 세부 요약
1. 타입의 정의와 역할
- 객체의 타입은 생성 시 고정됨
type(thing)
을 통해 객체 타입 확인 가능- 타입은
append()
,sort()
등 메서드 실행 여부 결정
2. 타입 시스템의 역사적 배경
- 1960년대: ALGOL에서 변수와 타입 연결
- 1972년: C 언어에서 포인터와 구조체로 타입 제어
- 1991년: Python 0.9.0에서
type()
도입 - 2014년: PEP 484로 타입 힌트 도입
3. 타입을 통한 동작 제어 예시
- 리스트 확인:
isinstance(thing, list)
로.append()
가능 여부 검증 - 시퀀스 동작:
collections.abc.Sequence
로 리스트, 튜플, 문자열 등 일관된 처리 - 불변성 강제: 튜플(
x = (1, 2, 3)
)은 변경 불가, 리스트는 변경 가능
4. 타입의 실무적 영향
- 타입 불일치 시 오류 발생:
int + str
은TypeError
발생 - 타입 힌트 활용:
def add(a: int, b: int) -> int:
로 코드 가독성 향상
결론
- 타입은 Python의 핵심 설계 원칙 →
type()
및isinstance()
로 타입 검증 - 타입 시스템은 동적 언어에서도 안정성 제공 → 추상 기본 클래스와 타입 힌트 활용 권장
- 불변 타입(튜플) vs 가변 타입(리스트) 선택 → 데이터 안정성에 따라 사용 결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