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이썬 프로그래밍 - 강의 3: 타입 캐스팅과 입력 함수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초보 파이썬 프로그래머, 변수 타입 이해 및 입력 처리에 관심 있는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type() 함수를 사용해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예: print(type(x))int, str, float
  • 명시적 타입 캐스팅(Explicit Casting)은 int(), float(), str() 함수로 타입을 강제 변환합니다. 예: a=int("10")10
  • 입력 함수(input())는 사용자 입력을 문자열로 반환하며, 수치 연산을 위해 int()로 변환해야 합니다. 예: a=int(input("숫자 입력: "))200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타입 확인(type checking)

  • type() 함수를 사용해 변수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예: x=200print(type(x))
  • 문자열은 따옴표로 인해 str 타입으로 인식됩니다. 예: "10" + "10""1010"

2. 암시적 타입 캐스팅(Implicit Type Casting)

  • 연산 중 자동으로 타입이 변환됩니다. 예: x=10, y=20.5x+y=30.5 (결과 타입: float)
  • + 연산자로 문자열은 결합(Concatenation)이 발생합니다. 예: "10"+"10""1010"

3. 명시적 타입 캐스팅(Explicit Type Casting)

  • int(), float(), str() 함수로 타입을 강제 변환합니다.
  • 예: a=10.4a=int(a)a=10 (소수점 제거)
  •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후 연산: a=int("10"), b=int("20")a+b=30

4. 입력 함수(input function)

  • input()은 사용자 입력을 문자열로 반환합니다. 예: a=input("숫자 입력: ")"200"
  • 수치 연산을 위해 int()로 변환해야 합니다. 예: a=int(input("숫자 입력: "))200
  • 입력값을 정수로 변환한 후 연산: a=int(input("1: ")), b=int(input("2: "))a+b=300

5. 예제 및 주의 사항

  • 문자열 연산 시 +는 결합이 발생합니다. 예: "10"+"10""1010"
  • 수치 연산을 위해 int()로 변환해야 합니다. 예: a=int("10"), b=int("20")a+b=30
  • bool() 함수는 0False, 1 이상을 True로 반환합니다. 예: print(bool(0))False

결론

  • 수치 연산을 위해 input() 결과는 반드시 int() 또는 float()으로 변환해야 합니다.
  • 문자열 연산 시 +는 결합이 발생하므로, 수치 연산을 위해 명시적 타입 캐스팅이 필요합니다.
  • 다음 강의는 파이썬 문자열(String) 처리에 대한 내용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