퀄컴, '온글라스 AI'에 집중...스마트 안경용 AI 칩 소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, 머신러닝, DevOps
대상자
- 소프트웨어 개발자, AI 엔지니어, 웨어러블 기기 개발자
- 중급~고급 수준의 기술 이해도를 가진 개발자
핵심 요약
- 퀄컴은 스마트 안경에 초저전력 '스냅드래곤 AR1+ Gen 1' 칩을 탑재한 '온글라스 AI'를 발표
- 메타의 '라마 1B' 기반의 소형언어모델(sLM)과 트랜스포머 모델을 스마트 안경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
- AR1+ Gen 1은 전력 효율, 이미지 처리 성능, 언어모델 구동 능력이 개선되었으며, 스마트 안경의 디자인을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음
섹션별 세부 요약
1. 스마트 안경용 칩 발표
- 퀄컴은 'AWE 2025'에서 '스냅드래곤 AR1+ Gen 1' 칩을 공개하고, 이를 탑재한 '레이네오 X3 프로'를 시연
- 스마트 안경에서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실시간 AI 서비스를 제공
- AI 비서와 대화 가능, 예: 딸의 생일 파티를 위한 알프레도 파스타 재료 질문에 답변 제공
2. AI 기능 구현 방식
- 메타의 '라마 1B' 기반 소형 언어모델(sLM)을 탑재
- 트랜스포머 모델이 스마트 안경 단독으로 동작 – 이는 사상 최초의 사례
- 사마트 안경에서 텍스트 및 오디오로 AI 서비스 제공 가능
3. AR1+ Gen 1 칩의 기술적 개선
- 이전 세대 대비 26% 작아진 크기
- 전력 효율, 이미지 처리 성능, 언어모델 구동 능력 개선
- 스마트 안경의 디자인을 얇고 가볍게 하면서도 성능과 개인화된 AI 경험을 동시에 가능하게 함
4. 퀄컴의 미래 전략 및 경쟁 상황
- 스마트 안경이 독립형 AI 기기로 진화하고, 스마트워치, 스마트링 등 다른 기기와 연동 가능성
- 메타, 구글, 삼성과 '안드로이드 XR' 운영체제 공동 개발로 생태계 확장
- 애플도 스마트 안경 출시 예고, 퀄컴의 잠재적 경쟁자로 주목
결론
- 스마트 안경 시장에서 AI 기능의 독립적 실행이 가능해지는 것은 '스냅드래곤 AR1+ Gen 1' 칩의 핵심 특징
- 트랜스포머 모델을 스마트 안경 내부에서 실행하는 것은 AI 웨어러블 기기의 중요한 발전
- 향후 스마트 안경은 다른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하여 사용자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전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