레일즈 8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웹 개발자, 프레임워크 선택 고민 중인 기술자
- 중급~고급 개발자 (기존 레일즈 사용자 대상)
핵심 요약
- "레일즈 8은 기능 제거를 통해 성숙도를 보여준다"
- Omakase 패턴으로 불필요한 기능을 유연하게 제거 가능
- 기존 레일즈의 핵심 구성 요소(컨트롤러, 도메인)는 그대로 유지
- Vite, Unpoly, Tui 등 외부 도구와의 호환성 강조
섹션별 세부 요약
1. 레일즈 8의 핵심 변화
- 기능 제거를 통해 단순화
- PaaS, React, Redis 등 기존 의존성 제거 가능성
- "기능 삭제"가 성숙한 프레임워크의 표시로 인식
- 기존 구성 요소 유지
- 도메인, 컨트롤러의 효율성과 복잡성 관리 유지
- "Omakase" 패턴: 특정 기능만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
2. 실제 개발 환경 적용 사례
- 기본 설정 생략
- DB 구성, 자산 관리, Hotwire 등 기본 기능 생략
- Vite 사용으로 자산 관리 최적화
- Unpoly로 Hotwire 대체하여 성능 개선
- 대체 도구 사용
- Authentication-zero로 기본 인증 생성기 대체
- Tui editor로 Trix 대체하여 HTML 처리 효율성 향상
3. 생산성과 장기적 관리
- PG 기반 시스템적 기능 강화
- 개발, 테스트, 큐 등 데이터베이스 구성 간소화
- "freskrweb_development" 등 테이블 구조 명확화
- 프레임워크의 장기적 관리 가능성
- 아이디어 → 생산성 간 거리 단축
- 복잡성과 생산성의 균형 유지
결론
- "레일즈 8은 개발자 중심의 단순화와 유연성에 초점을 맞춘 프레임워크"
- 외부 도구(예: Vite, Unpoly)와의 호환성을 통해 기능 확장 가능
- 기존 레일즈 사용자에게도 생산성 향상 효과 기대
- "AI 생성 코드로 인한 복잡성 증가"와 대비되는 레일즈 8의 접근 방식 강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