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aku Programming Language의 독립 기금 마련 전략

Raku 프로그래밍 언어의 독립 기금 마련 방안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Raku 언어 개발자 및 커뮤니티 구성원, 오픈소스 기금 마련에 관심 있는 개발자 및 기관

핵심 요약

  • Raku 기금 마련은 Perl과 분리된 독립적인 커뮤니티 지원을 위한 필요성으로 인해 추진됨
  • YAS(Perl 기금)와의 분리는 Raku 언어의 독립성 확보 및 기금 집중 관리를 목표로 함
  • 2027년 사이버 회복력 법안(Cyber Resilience Act) 실행을 대비한 오픈소스 스태드(Steward) 역할 강조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Raku의 역사 및 커뮤니티 분열

  • Perl 6에서 Raku로의 이름 변경은 Perl 커뮤니티의 분열을 촉발했음
  • Perl 6 → Raku로의 명칭 변경은 2019년에 이루어졌으며, Perl과 Raku의 역사적 연관성은 여전히 남아 있음

2. YAS의 역할과 기금 문제

  • YAS(Perl 기금)는 Perl 5 및 Perl 6(현재 Raku)의 기금 지원을 담당했으나, Raku에 대한 기금 지원이 부족함
  • Raku 커뮤니티는 YAS의 지원 없이 독립적인 기금 마련을 추진 중

3. Raku 기금의 설립 계획

  • 유럽 기반의 독립 기금 설립을 계획하며, YAS는 Perl에 집중 지원
  • 기금 설립을 위해 법무사 비용, 은행 계좌 개설, 기부 버튼 웹사이트 구축 등이 필요함

4. 기금 운영 및 법적 요구사항

  • 기금의 운영 규정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형태로 설정되어야 하며, 이사회가 필요 시 수정 가능
  • 이사회 구성은 과거 Raku 개발에 깊이 관여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함

5. 사이버 회복력 법안 대응

  • 2027년부터 시행되는 Cyber Resilience Act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기회를 제공하며, Raku 기금은 이를 통해 오픈소스 스태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

결론

  • Raku 기금 설립을 위해 커뮤니티 참여 및 의견 제시가 필요하며, 기금은 2027년 사이버 회복력 법안 대응을 위한 전략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