~ Floating Pi ~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초보자 (Raspberry Pi 및 임베디드 시스템 초보자)
- 난이도: 중간 (하드웨어 설정 및 OS 설치 경험 필요)
핵심 요약
- Raspberry Pi와 터치 스크린을 활용한 프로젝트 초기 설정 과정
- 필수 구성품 누락 (micro SD, HDMI 케이블)으로 인한 설치 어려움
- SSH 설정 및 사용자 계정 구성 과정에서의 반복적 오류 해결
섹션별 세부 요약
1. 하드웨어 구성 및 구매
- 터치 스크린 및 Raspberry Pi 구매 결정
- 3.5인치 LCD와 스타일러스 포함 제품 선택
- 하드웨어 연결 시 전원 및 기본 작동 확인
2. OS 설치 준비
- micro SD 카드와 USB 인터페이스 사용 필수
- OS 이미지 파일을 USB에 복사한 후 Raspberry Pi에 삽입
- HDMI 케이블 누락으로 모니터 연결 불가 시 SSH 사용 고려
3. 네트워크 설정과 SSH 연결
- Raspberry Pi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이더넷 케이블 사용
- 케이블 길이 부족으로 물리적 조정 필요 (floating pi 구현)
- SSH 접속 시 IP 주소 확인 및 사용자 계정 생성 필요
4. 사용자 계정 설정 및 암호화
- USB를 통해 PC와 Raspberry Pi 간 반복적 파일 전송
- 사용자 이름 설정 및 암호화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
- 계정 구성 완료 후 Raspberry Pi가 네트워크에서 인식되지만 암호 문제 지속
결론
- Raspberry Pi 프로젝트 초기 설정 시 필수 구성품 (micro SD, HDMI 케이블)을 사전에 준비해야 한다.
- SSH 연결 및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반복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정확한 단계를 따라야 한다.
- "floating pi"처럼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는 창의적인 해결책은 학습 과정의 핵심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