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BAC 구현을 통한 보안 강화: Lura 프로젝트 사례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, 보안 엔지니어, 시스템 설계자
핵심 요약
- RBAC(Role-Based Access Control)는 사용자 역할에 따라 접근 권한을 정의하여 보안성과 유지보수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패턴
- NestJS의 @Roles() 데코레이터와 JWT 기반 미들웨어를 통해 백엔드 권한 검증을 구현
- 프론트엔드(Next.js)에서는 조건부 렌더링을 통해 권한에 따른 UI 제어 수행
- 서버사이드 검증이 필수적: 프론트엔드 검증만으로는 역할 위변조 방지가 불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**RBAC의 중요성 및 목표**
- 법률 플랫폼(Lura)에서 사용자 역할(Lawyer, Admin, Super Admin)에 따른 정확한 권한 제어 필요
- 민감한 API 경로(delete, update, create) 보호 및 UI 버튼/페이지 가시성 제어
- 역할 위변조 방지를 위해 서버사이드 검증 강화
2. **백엔드 구현 방법 (NestJS + Prisma)**
- NestJS Guards와 @Roles() 데코레이터를 사용해 컨트롤러 라우트 보호
- Prisma user 모델로 사용자 역할 저장
- JWT 토큰 기반 미들웨어로 요청 검증
@UseGuards(AuthGuard, RolesGuard)
@Roles('admin')
@Delete('/document/:id')
removeFile() { ... }
3. **프론트엔드 구현 방법 (Next.js + Context)**
- 세션 컨텍스트에서 사용자 역할 추출
- 조건부 렌더링으로 권한 부여된 UI 요소 표시
{user.role === 'admin' && }
4. **보안 강화 조치**
- 프론트엔드 검증만으로는 역할 위변조 방지 불가 → 백엔드 보안 검증 필수
- 등록 시 역할 할당 로직 추가 (예: Super Admin이 Admin 생성)
5. **핵심 수업 및 결론**
- RBAC는 소프트웨어의 안정성과 확장성 향상에 기여
- NestJS의 가드(Guard)와 데코레이터로 백엔드 보안 모듈화 가능
-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로직 일관성 유지 필요
- 초기 접근 모델 설계가 향후 확장성에 영향
결론
- RBAC 구현 시 서버사이드 검증 필수, 프론트엔드 검증은 보조 역할
- NestJS의 @Roles() 데코레이터와 JWT 미들웨어 활용이 효율적
- 역할 기반 접근 제어는 시스템 보안과 유지보수성 향상에 기여하며, 초기 설계 단계에서 확장성을 고려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