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renderToPipeableStream with Express: 서버사이드 스트리밍의 깊은 탐구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React와 Express를 사용하는 서버사이드 렌더링(SSR) 개발자, 성능 최적화 및 스트리밍 기술 적용에 관심 있는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
핵심 요약
renderToPipeableStream
은 전체 HTML을 생성하지 않고 프로젝트 단위로 스트리밍하여 TTFB(첫 바이트 도달 시간) 향상- Suspense와 Selective Hydration을 통해 비동기 데이터 로딩 시에도 빠른 UI 피드백 제공
- Express 서버 설정 시
onShellReady
및onAllReady
콜백을 통해 스트리밍 흐름 제어 및 에러 처리 강화
섹션별 세부 요약
1. 문제 이해
- 전통적 SSR의 한계:
- TTFB 지연, 메모리 사용량 증가, 비동기 작업 차단
- 사용자 경험 향상 없음: 전체 렌더링 완료 전까지 UI 노출 불가
2. `renderToPipeableStream` 소개
- Node.js 스트리밍 API로 HTML을 조각 단위로 클라이언트에 전송
- 비동기 작업 처리 및 선택적 하이드레이션 지원
- Suspense를 통해 데이터 로딩 중에도 로딩 상태 표시 가능
3. Express 서버 설정
getHTMLTemplate
함수로 HTML 템플릿 생성onShellReady
콜백을 통해 렌더링 완료 시 스트리밍 시작onShellError
및onError
로 에러 처리 로직 구현
4. 구현 예제
Suspense
와App
컴포넌트로 데이터 로딩 처리UserSkeleton
과 같은 스켈레톤 UI로 사용자 경험 개선StreamingErrorBoundary
로 에러 영역 분리
5. 성능 영향
- TTFB 감소,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
- SEO 향상: 검색 엔진이 초기 HTML 조각부터 크롤링 가능
6. 고급 기능
bootstrapScripts
및bootstrapScriptContent
로 클라이언트 렌더링 초기화onAllReady
콜백을 통해 모든 콘텐츠 전송 완료 알림
7. 최적화 팁
- 스켈레톤 컴포넌트 사용: 최종 UI 구조와 일관된 임시 UI 제공
- 에러 경계 설정: 특정 섹션의 실패를 방지
- 타임아웃 처리: 10초 이상의 요청은
abort()
로 중단
8. 일반적인 문제 해결
- 헤더 설정 시기: 스트리밍 시작 전에
res.setHeader()
호출 - 타임아웃 정리:
res.on('finish')
및res.on('close')
이벤트로 정리 - 콘텐츠 일관성: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동일한 데이터 소스 사용
결론
renderToPipeableStream
을 사용할 때는onShellReady
와onAllReady
콜백을 반드시 구현하고, 타임아웃 처리 및 에러 경계 설정이 필수적- 스켈레톤 UI과 선택적 하이드레이션을 통해 사용자 경험 향상 가능, 성능 지표(TTFB, 메모리 사용량) 개선을 목표로 하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