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19: 2025년에 알아야 할 주요 기능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React 개발자(초보자 및 경력자),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관심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

난이도: 중급 이상(React 기초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Server Components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JavaScript 용량 감소 및 성능 향상
  • Concurrent Rendering을 기본값으로 제공하여 UI 반응성과 사용자 경험 개선
  • useSyncExternalStore 훅으로 외부 상태 관리(예: Redux, Zustand) 시 동시성 렌더링과의 호환성 강화
  • Optimized SSR Streaming으로 TTFB(첫 바이트 전송 시간) 감소 및 SEO/성능 향상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Server Components

  • 서버에서만 실행되는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JS 용량 감소
  • fetchSomeData()와 같은 서버 전용 API 사용 가능
  • 코드 예시: export default function ServerComponent() { ... }

2. Concurrent Rendering

  • React 19에서 기본값으로 제공되며, 렌더링 작업 중단/일시 중지 가능
  • 개발자 설정 없이 기존 컴포넌트 작성 방식 그대로 사용 가능
  • UI 반응성 향상 및 사용자 경험 개선

3. useSyncExternalStore 훅

  • 외부 저장소(예: Redux, Zustand)와의 구독을 동시성 렌더링과 호환 가능
  • useSyncExternalStore 훅 사용 예: import { useSyncExternalStore } from 'react';

4. Optimized SSR Streaming

  • 서버에서 HTML을 점진적으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TTFB 감소
  • SEO 및 사용자 인식 성능 향상
  • React.lazySuspense 사용 예시 포함

5. Automatic Batching 확장

  • Promise, setTimeout, 네이티브 이벤트 핸들러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용
  • 렌더링 횟수 감소 및 성능 향상

6. StrictMode 개선

  • 개발 환경에서 일부 라이프사이클 효과를 2회 실행하여 사이드 이펙트 및 버그 조기 발견 가능

결론

  • React 19의 Server Components, Concurrent Rendering, useSyncExternalStore 훅, Optimized SSR Streaming 기능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성능, 확장성, 개발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음
  • 2025년 이후 기술 트렌드 대응을 위해 React 19로 업그레이드를 권장하며, SuspenseReact.lazy를 사용한 예제를 참고하여 서버 컴포넌트와 동시성 렌더링 구현을 검토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