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Context API 이해: 실무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React 프론트엔드 개발자 (중급 이상)
- 상태 관리 패턴을 익히고자 하는 개발자
- props drilling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개발자
- Redux/Zustand 등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을 고려 중인 개발자
핵심 요약
- Context API는
React.createContext()
로 생성된 글로벌 상태 관리 도구로,props drilling
을 방지하고 다중 컴포넌트 간 상태 공유 가능 - 적용 예시:
인증 상태
,테마 전환
,언어 설정
,모달 표시/숨기기
등 - 주의 사항:
고빈도 업데이트(예: 입력 필드)
또는복잡한 상태 관리
에는 Zustand/Redux 사용 권장 - 구현 패턴:
AuthProvider
+useAuth()
커스텀 훅으로 컴포넌트 간 상태 접근 가능
섹션별 세부 요약
1. React Context API 소개
- props drilling 문제: 부모-자식 간 반복적 props 전달으로 인한 코드 복잡성 증가
- Context API의 역할:
Provider
와Consumer
를 통해 상태 공유 가능 - 기본 구조:
createContext()
,useContext()
사용
2. Context API 사용 시기
- 적합한 경우:
- 다수의 컴포넌트에서 접근해야 하는 상태 (예: 인증 상태)
props drilling
으로 인한 코드 복잡성 증가- 비추천 사례:
input
값 등 고빈도 업데이트 상태 (불필요한 리렌더링 유발)- 복잡한 상태 관리 (Zustand/Redux 사용 권장)
3. AuthContext 구현 예시
- 코드 구조:
```javascript
const AuthContext = createContext();
export const AuthProvider = ({ children }) => {
const [user, setUser] = useState(null);
const login = (userData) => setUser(userData);
const logout = () => setUser(null);
return
};
```
- 사용 방법:
```javascript
export const useAuth = () => useContext(AuthContext);
const { user, login, logout } = useAuth();
```
4. 최적화 및 주의사항
- 베스트 프랙티스:
- 맥스 3개의 컨텍스트로 분리 (예:
AuthContext
,ThemeContext
,LanguageContext
) useContext()
훅으로 상태 접근 간결화- 컨텍스트 값 최소화 (대규모 데이터는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)
- 문제점:
Provider
가 감싸는 범위를 적절히 설정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리렌더링 발생
결론
- Context API는 간단한 글로벌 상태 관리에 적합하며,
AuthProvider
+useAuth()
패턴으로 코드 재사용성 향상 가능 - 고빈도 업데이트 상태는
useState
로 처리, 복잡한 상태 관리는Zustand/Redux
로 이관 -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
Context API
,Redux
,Zustand
의 조합 사용 추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