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핵심 개념 정리: useState, 스프레드 연산자, map 함수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초보~중급 React 개발자, 상태 관리 및 리스트 렌더링 기초를 학습하고자 하는 개발자
핵심 요약
- useState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React Hook으로,
const [state, setState] = useState(initialValue);
형식으로 사용 - 스프레드 연산자(
...
)는 배열/객체 복사 및 확장을 위해 사용되며,const newNumbers = [...numbers, 4];
와 같이 활용 - map() 함수는 배열을 순회하며
요소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,
key
속성은 리스트 항목의 고유 식별을 위해 필수적
섹션별 세부 요약
1. useState: 상태 관리 기초
useState
는import React, { useState } from 'react';
로 불러와 사용const [count, setCount] = useState(0);
예시에서setCount
를 호출해 상태를 업데이트- 상태는 불변성 유지 원칙에 따라 직접 수정하지 않고
setState
함수를 통해 변경
2. 스프레드 연산자: 데이터 불변성 유지
- 배열 복사:
const newNumbers = [...numbers, 4];
- 객체 복사:
const updatedUser = { ...user, age: 26 };
- React 상태 업데이트 시 원본 데이터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 복사한 데이터를 사용
3. map() 함수: 리스트 렌더링
fruits.map((fruit, index) => (
형식으로 배열을- {fruit}
))
요소에 매핑key
속성은 React가 리스트 항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- 리스트 항목이 동적으로 변경될 경우
key
를 고유하게 설정해야 성능 향상
결론
useState
를 사용할 때는 상태 업데이트 함수를 통해 불변성 유지- 스프레드 연산자는 객체/배열 복사 시 불변성 보장
map()
사용 시key
속성을 반드시 설정하고, 리스트 항목의 고유 식별자로 사용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