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프로젝트 구조: 확장성과 개발자 경험 강화 패턴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React 프로젝트 구조 설계 원칙 및 패턴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React 애플리케이션 개발자, 프로젝트 구조 설계자, 중규모 이상 애플리케이션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구조 설계 원칙 : 분리된 관심사(Seperation of Concerns)기능 중심 설계(Feature-first Thinking)를 중심으로 설계
  • 확장성 패턴 : features/ 폴더 기반의 모듈화 구조로 300개 이상의 컴포넌트도 관리 가능
  • 개발자 경험 강화 : @components, @featuresPath Alias 사용으로 빠른 코드 탐색 및 유지보수
  • 핵심 도구 통합 : Storybook, Prettier, ESLint, Husky 등 개발 생산성 향상 도구 사용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프로젝트 구조 설계 원칙

  • 4대 핵심 원칙

- Separation of Concerns : 추상화보다 구현 중심 설계

- Feature-first Thinking : 기능별로 파일을 구성(예: auth/, dashboard/)

- Scalability : 3개 컴포넌트에서 300개까지 동일한 구조 유지

- Developer Experience : 빠른 온보딩, 컨텍스트 전환 최소화

2. 주요 폴더 구조

  • src/ 루트 폴더 구조

- components/ : Button.tsx, Modal.tsx재사용 가능한 UI 블록

- features/ : auth/, dashboard/기능별 모듈 (예: authSlice.ts, api.ts)

- hooks/ : useDebounce, useFetch단일 목적의 커스텀 훅

- lib/ : Axios 인스턴스, 유틸리티 함수 등 비직관적인 로직

- store/ : Redux, Zustand 등 글로벌 상태 관리 (기능별 slice 분리)

- types/ : TypeScript의 @types 경로 별칭으로 타입 중앙 관리

3. 도구 및 기술 스택

  • 코드 품질 보장

- Prettier + ESLint : 코드 포맷팅 및 린팅 자동화

- Husky : Git 훅으로 커밋 전 린팅/테스트 강제

  • UI 개발 생산성

- Storybook : 컴포넌트 개발 및 문서화 통합

  • 타입스크립트 최적화

- tsconfig.json 경로 별칭(@components, @features) 사용

4. 구조의 장점

  • 확장성 : SSR(Next.js), SPA, Electron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
  • 테스트 용이성 : 기능별 모듈 분리로 단위/통합 테스트 간편
  • 유지보수성 : features/ 폴더 내 로직/컴포넌트/스토어의 캡슐화

결론

  • 핵심 팁 : feature-first 구조를 기반으로 @components, @features 경로 별칭 사용, Storybook 도입, Prettier + ESLint 통합
  • 구현 예시 : features/auth/ 폴더 내 authSlice.ts, api.ts, LoginForm.tsx와 같은 기능별 파일 그룹화
  • 결론 한 줄 요약 : 모듈화된 feature-first 구조는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React 프로젝트 설계의 핵심 전략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