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ct Router Data Mode 테스트: Vitest & React Testing Library 활
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!
지금 바로 방문하기

React Router Data Mode 테스트: Vitest 및 React Testing Library 사용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- React 및 React Router를 사용하는 개발자

- UI 테스트와 약한 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중급 이상 개발자

- 테스트 자동화와 도구 사용에 관심 있는 프론트엔드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Vitest와 React Testing Library를 사용해 React Router Data Mode의 테스트 환경을 구축
  • createRoutesStub을 활용한 UI 테스트 및 상태 시뮬레이션
  • Optimistic UI 테스트를 위해 action의 지연 시간을 시뮬레이션
  • 접근성 향상을 위해 aria-label 사용 강조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테스트 환경 설정

  • Vitest, jsdom, React Testing Library 등 필요한 의존성을 설치
  • vite.config.ts에 Vitest 설정 추가 (환경: jsdom, setupFiles 지정)
  • tsconfig.app.json에서 Vitest 전역 타입 및 모듈 설정

2. 연락처 페이지 테스트

  • createRoutesStub을 사용해 라우트 스텁 생성 및 loader 데이터 시뮬레이션
  • UI 상태 (예: 스켈레톤, 로딩 완료) 검증
  • UI 테스트에 집중하고 loader 로직은 별도 테스트로 분리

3. 폼 테스트

  • 필수 필드 검증 및 유효성 에러 표시 테스트
  • 유효한 데이터 제출 시 에러 없음 검증
  • userEvent 라이브러리로 UI 상호작용 시뮬레이션

4. 연락처 상세 보기 및 Optimistic UI 테스트

  • childrenaction을 포함한 라우트 스텁 생성
  • action의 지연 시간을 사용해 Optimistic UI 동작 검증
  • 접근성 향상을 위해 aria-label 추가 및 테스트

결론

  • 테스트는 UI 중심으로 간단하게 작성하고, 로직 테스트는 별도로 수행
  • Vitest와 React Testing Library를 사용해 UI 상태 및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검증
  • 접근성 향상을 위해 aria-label 사용을 필수적으로 적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