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액트 상태 관리의 예술: 일반적인 실수 피하기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React 개발자, 중급~고급 수준의 상태 관리 경험자
핵심 요약
- 80%의 상태는 로컬로 유지해야 하며, 20%만 전역 상태 관리 도구 (Zustand, Redux) 사용
- useState → 간단한 로컬 상태, useReducer → 복잡한 로직, Context API → 3-5 컴포넌트 공유, Zustand/Redux → 전역/지속 상태 필요 시
- 전역 상태 도구 사용 조건: 라우트/세션 간 동기화, undo/redo, 성능 제한 시 (Context 중첩/prop drilling)
섹션별 세부 요약
80/20 규칙
- 80%의 상태는 사용하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유지해야 함
- 20%는 전역 상태 관리가 필수적 (예: 여러 페이지 간 공유 상태)
- 로컬 상태는 테스트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
도구 선택 프로세스
- useState: 단일 컴포넌트 내 상태
- useReducer: 복잡한 로직/상태 전이
- Context API: 3-5개 컴포넌트 간 공유
- Zustand/Redux: 전역 상태, 지속성, 복잡한 동기화 필요 시
사용 시기 판단 기준
- 로컬 상태 사용 시:
- 단일 컴포넌트에서 사용
- 테스트 및 추론이 쉬운 로직
- 페이지 간 동기화 필요 없음
- 외부 도구 사용 시:
- 라우트/세션 간 상태 동기화
- undo/redo, 토글링, 지속성 필요
- Context 중첩/prop drilling로 성능 저하 발생 시
결론
- 80/20 규칙을 준수하고, 상태 범위에 맞는 도구 선택이 핵심
useState
와useReducer
를 먼저 활용해 복잡성을 줄이고, 전역 상태 관리 도구는 필요 시만 사용Context API
는 3-5개 컴포넌트 간 공유 시 유리하지만,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Zustand
또는Redux
를 고려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