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DME First — 효과적인 프로젝트 문서화 가이드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초보 개발자 및 오픈소스 기여자
- 난이도: 초보자~중급자(프로젝트 설명과 사용법 작성 기초 지식 필요)
핵심 요약
- README는 프로젝트의 첫 번째 인상으로, 사용자 참여와 이해를 결정한다.
- 6가지 질문(What, Why, How to Use, How It Works, Contribution, Support)에 명확히 답변해야 한다.
- Golden Rules:
- "What & Why"부터 시작하고, 스크린샷/코드 블록으로 시각적 설명 제공.
- 설치 과정은 간단하게 명시 (예:
npm install your-package-name
). - 인간적인 언어로 작성하고, 기술 용어보다 사용자 중심의 설명 강조.
섹션별 세부 요약
1. README가 답해야 할 6가지 질문
- What: 프로젝트의 목적을 한 줄로 설명 (예: "Drizzle는 모든 사람을 위한 날씨 앱").
- Why: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동기 설명 (예: "예전 앱이 복잡해서 간단한 날씨 확인 도구를 개발함").
- How to Use: 설치 명령어와 실행 방법 명시 (예:
git clone
,npm run dev
). - How It Works: 기술적 개요 제공 (예: "HTML, CSS, JavaScript로 구축").
- Contribution: 기여 방법과 CONTRIBUTING.md 링크 제공.
- Support: 도움 요청 경로 (예: Twitter, GitHub 이슈).
2. README 작성의 금칙 사항
- 모든 질문 답변 생략: README 없이 프로젝트를 공유하지 않음.
- 모호한 설명: "Node.js 프로젝트입니다" 대신 구체적인 기능 설명.
- 단일 문단 작성: 헤딩, 리스트, 코드 블록으로 구조화.
- 설치/사용법 누락: 명시적 단계 제공 (예:
npm install
,resize-cli ./images
). - 라이선스 누락: MIT, Apache 2.0 등 명시.
3. 최종 README 템플릿
- 프로젝트 제목: 한 줄로 목적과 대상 설명.
- Demo: 라이브 사이트 또는 동영상 링크.
- Features: ✨, 🚀 등 아이콘으로 기능 강조.
- Why This Exists: 문제 해결 동기와 목적 설명.
- Installation:
git clone
,npm install
등 명령어 명시. - Usage: 예제 명령어 제공 (예:
resize-cli ./images
). - Project Status: 🚧, ✅, 💀 상태 표시.
- License: MIT, Apache 2.0 등 명시.
결론
README는 프로젝트의 첫 번째 문을 열어주는 키로,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고 기여를 촉진한다. 템플릿을 기반으로 6가지 질문에 명확히 답변하고, 시각적 요소와 간단한 설치 가이드를 포함하면 효과적인 README를 작성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