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al-Time 3D Air Table Tennis with Three.js & React

실시간 협업 3D 에어 탁구 테이블 개발: Three.js와 React 활용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  • 3D 웹 개발자, 실시간 협업 애플리케이션 개발자, 게임 개발자
  • 난이도: 중급 이상 (Three.js, React, WebSocket 경험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Three.js + React Three Fiber를 활용한 실시간 3D 렌더링 구현 (예: useRef 활용 객체 조작, OrbitControls 사용)
  • Yjs + WebSocket 서버를 통해 실시간 동기화 (사용자 위치 및 퍽 상태 동기화)
  • 물리 엔진 기반의 정확한 충돌 시뮬레이션 (마찰, 운동량 계산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목적

  • 실시간 멀티플레이어 지원: 브라우저 기반으로 동시 플레이 가능
  • 3D 시각화: WebGL 기반 Three.js 및 React Three Fiber 활용
  • 물리 기반 게임플레이: 실제 충돌, 마찰, 운동량 계산
  • 실시간 동기화: Yjs 및 WebSocket 서버로 클라이언트 간 상태 동기화

2. 기술 스택

  • 프론트엔드:

- React (상태 관리 및 UI 구성)

- Three.js + React Three Fiber (3D 렌더링)

- Yjs (실시간 상태 동기화)

  • 백엔드:

- WebSocket 서버 (실시간 데이터 전송)

- Yjs Provider (데이터베이스 연결)

3. 설계 고려사항

  • 성능 최적화:

- requestAnimationFrame 활용한 렌더링 최적화

- Yjs 상태 변경 이벤트 필터링 (불필요한 업데이트 방지)

  • 물리 시뮬레이션:

- Cannon.js 또는 Ammo.js를 통한 충돌 계산

- 퍽의 운동량 (impulse), 마찰 계수 (friction coefficient) 조정

  • 협업 구조:

- Yjs의 CRDT (Conflict-Free Replicated Data Type) 활용 동시 수정 처리

- 웹소켓 서버에서 Yjs Provider와의 통신 (예: y-websocket 모듈)

4. 구현 예시

  • React 컴포넌트 구조:

```jsx

const Puck = () => {

const mesh = useRef();

useFrame((state) => {

mesh.current.position.copy(state.mouse);

});

return ;

};

```

  • Yjs 상태 동기화:

```javascript

const ydoc = new Y.Doc();

const ymap = ydoc.getMap('puckState');

ymap.observe(() => {

updatePuckPosition(ymap.get('position'));

});

```

결론

  • React + Three.js로 3D 렌더링 구현 시 React Three FiberuseFrameuseRef 활용 필수
  • 실시간 동기화는 Yjs의 CRDT 기능 + WebSocket 서버를 통해 구현 (예: y-websocket)
  • 물리 시뮬레이션은 Cannon.js 또는 Ammo.js를 통한 충돌 계산, 퍽의 마찰 계수 조정으로 현실감 강화
  • 성능 최적화: requestAnimationFrame + Yjs 상태 필터링으로 높은 프레임 유지
  • 협업 구조 설계: Yjs의 CRDT + WebSocket 서버 활용으로 실시간 동시 수정 처리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