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이브러리 사용 줄이기 핵심 원칙: 성능과 유지보수 고려

설치된 라이브러리 수를 줄이는 것의 핵심 원칙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  • 초보자~중급 개발자
  • 라이브러리 사용 전략과 성능 최적화를 고려하는 개발 팀
  • 프로젝트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중시하는 기술 리더

핵심 요약

  • 라이브러리 사용은 복잡한 문제 해결에 한정 (Zustand, Redux 등)
  • 간단한 로직은 직접 구현 (useState, useContext, Intl.DateTimeFormat 등)
  • 라이브러리 사용 시 성능, 유지보수, 보안 trade-off 반드시 고려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라이브러리 사용의 부작용

  • 프론트엔드: 번들 크기 증가 → 로딩 시간 증가
  • 백엔드: 초기화 시간 증가, 메모리 사용량 증가
  • 예시: lodash 대신 lodash/debounce 사용 또는 직접 debounce() 함수 구현

2. 라이브러리의 위험 요소

  • 보안 취약점: 외부 라이브러리의 취약점으로 인한 위험
  • 버전 충돌: 패키지 트리에서의 충돌 가능성
  • 라이선스 문제: 라이브러리의 라이선스와 프로젝트 정책 불일치

3. 사용 시기별 판단 기준

  • 간단한 유틸리티: 직접 구현 (예: useState, useContext)
  • 복잡한 로직: zod, yup (스키마 검증), dayjs (시간 처리) 사용
  • 성능 최적화: React Query (캐싱), Prisma (데이터베이스) 사용

4. 라이브러리 사용 전 반성 포인트

  • 문제 정의: 해결하려는 문제의 복잡도 파악
  • 코드 길이: 20줄 이내로 구현 가능한지 확인
  • trade-off 분석: 성능, 유지보수, 보안 영향 평가

결론

  • 복잡한 문제 해결에만 라이브러리 사용 (Zustand, Redux, dayjs 등)
  • 간단한 로직은 직접 구현 (useState, useContext 등)
  • 라이브러리 사용 전 성능/보안/유지보수 trade-off 필수 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