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EST API 버전 관리 전략: 완전한 세마버전이 아닌 주요 버전 중심 접근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  • 대상자: API 설계자, DevOps 엔지니어, 백엔드 개발자
  • 난이도: 중급~고급 (API 버전 관리 전략과 설계 원칙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MAJOR.MINOR.PATCH 세마버전 방식REST API에서 운영 복잡성 증가사용자 경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.
  • 패치(PATCH) 및 마이너(MINOR) 변경 사항URL에 반영하지 않고 주요 버전(MAJOR)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.
  • /v1 주요 버전완전히 호환되지 않는 변경 사항이 발생할 때만 /v2로 업그레이드해야 하며, 이는 명확한 계약을 제공한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세마버전(SemVer)의 원리

  • MAJOR: 호환되지 않는 API 변경(예: 1.0.02.0.0)
  • MINOR: 호환 가능한 기능 추가(예: 1.0.01.1.0)
  • PATCH: 호환 가능한 버그 수정(예: 1.0.01.0.1)
  •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에서 유용하지만, REST API에 직접 적용 시 복잡성이 증가한다.

2. REST API에 세마버전 적용의 문제점

  • PATCH 버전 적용 시 사용자가 URL을 변경해야 하며, 이는 불필요한 업데이트 부담을 유발한다.
  • MINOR 버전 변경 시 기존 사용자가 새로운 기능을 강제로 사용하도록 요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.
  • 다양한 마이너/패치 버전 관리배포, 테스트, 문서화 복잡성 증가를 초래한다.

3. 주요 버전 중심 접근 전략

  • MAJOR 버전(v1, v2, v3)은 호환되지 않는 변경 시만 업데이트하고, 기능 추가 및 버그 수정은 해당 주요 버전 내에서 연속적으로 진화한다.
  • /v1/resource호환 가능한 수정 사항이 모두 포함된 최신 버전으로 유지되어야 한다.
  • 사용자기존 인터페이스 유지새로운 기능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.

4. 실무적 이점

  • URL 복잡성 감소: v1.0.0, v1.0.1 등 마이너/패치 버전을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.
  • 운영 효율성 향상: 배포, 테스트, 모니터링 리소스 절감.
  • 사용자 경험 개선: 개발자는 주요 버전(v1, v2)만 주의 깊게 관리하면 된다.

결론

  • REST API 버전 관리주요 버전(MAJOR) 중심으로 설계하고, 호환 가능한 변경 사항은 해당 버전 내에서 연속적인 진화로 처리하는 것이 실무적이다.
  • URL에 MAJOR.MINOR.PATCH를 적용하지 않고, /v1//v2처럼 간단한 버전 구분이 권장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