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GraphQL로의 전환: REST와의 차이 및 설정 방법"

REST에서 GraphQL로의 전환: 첫 인상과 설정 경험 요약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- 대상자: API 개발자, REST에서 GraphQL로 전환을 고려하는 개발자

- 난이도: 중급 (REST 기초 지식과 MERN 스택 경험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GraphQL은 REST와 달리 필요한 데이터만 정확히 요청할 수 있어 API 효율성을 높인다.
  • Schema는 GraphQL API의 구조를 정의하며, Query/Mutation/Resolver 등 핵심 개념을 포함한다.
  • VSCode에서 GraphQL 설정 시 buildSchema, app.use('/graphql'), graphiql: true 등 주요 설정 항목을 사용한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GraphQL의 정의와 특징

  • GraphQL은 2015년 Facebook에서 발표한 API 쿼리 언어로, REST의 다중 요청 문제를 해결한다.
  • "필요한 데이터만 요청"이라는 원칙을 통해 네트워크 효율성과 API 진화를 용이하게 한다.
  • GraphiQL UI를 통해 쿼리 테스트가 가능하며, 코드 형식의 buildSchema 함수로 스키마를 정의할 수 있다.

2. 핵심 개념 설명

  • Schema: API의 구조를 정의하는 블루프린트 (type Query, type Mutation 등 포함).
  • Queries: 데이터 조회를 위한 함수 (예: hello: String).
  • Mutations: 데이터 생성/수정/삭제를 위한 함수 (예: createUser).
  • Resolvers: 쿼리/뮤테이션에 대한 로직을 처리하는 함수 (예: hello 필드에 매핑).
  • Types: String, Int, Boolean 등 스칼라 타입과 Book, User 등 커스텀 객체 타입.

3. VSCode 설정 및 예제 실행

  • buildSchema 함수로 스키마 정의 (type Query { hello: String }).
  • app.use('/graphql', ...)를 통해 GraphQL 미들웨어 연결.
  • graphiql: true로 GraphiQL UI 활성화 (예: { hello } 쿼리 실행 시 "Hello Naresh IT!" 반환).

결론

  • GraphQL을 도입할 때는 스키마 설계와 Resolver 로직을 철저히 정의해야 하며, GraphiQL을 활용한 테스트를 통해 오류를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.
  • REST 대비 네트워크 요청 최소화와 데이터 조합의 유연성은 GraphQL의 주요 장점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