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만의 게시판 | 기본기부터 배우는 똑똑한 설계법 | ERD & RESTful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*초보 백엔드 개발자, 프로젝트 협업 팀원**
- 난이도: 중간 (RESTful 원칙 이해 및 적용에 초점)
핵심 요약
- RESTful 설계는 리소스 중심 URI + HTTP 메서드 분리로 기술 부채를 방지
- URI 중복 방지를 위해
/recipes/{id}/comments
형식으로 행위(action) 대신 리소스 명시 - Swagger, Spring REST Docs 등 문서화 도구와의 호환성 향상
섹션별 세부 요약
1. 기존 설계의 문제점
- 행위 중심 URI (
/makecomment
,/deletecomment
) 사용 시 API 중복 및 유지보수 어려움 - 기능 확장 시 URI 수정 필요로 인한 기술 부채 누적
- HTTP 메서드 의미 파악 부족으로 인한 설계 오류
2. RESTful 설계 예시
- URI 구조:
/recipes/{id}/comments
(댓글 조회/작성),/recipes/{id}/comments/{commentId}
(수정/삭제) - HTTP 메서드 매핑: GET(조회), POST(작성), PUT(수정), DELETE(삭제)
- 리소스 중심 설계로 새로운 기능 추가 시 재사용성 향상
3. 온보딩과 설계의 관계
- 표준화된 설계는 신규 팀원의 이해도 향상 및 버그 발생 시 원인 추적 용이
- 공통 언어(URI, 메서드, 상태코드)로 프론트/백엔드/기획자 간 소통 효율화
- Swagger, Spring REST Docs 활용 시 자동 문서화 가능
4. 설계법의 장기적 효과
- "빠르게 구현" 대신 "제대로 설계"하는 것이 프로젝트 지속 가능성 향상
- 일관된 설계로 팀 협업 효율성 및 개인 기준 형성
결론
- RESTful 원칙 적용 시 URI 중복 방지, 기술 부채 예방, 협업 효율성 증대
- Swagger 도구 활용을 통해 API 문서 자동화
- "제대로 설계"하는 습관은 장기적 개발 생산성에 긍정적 영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