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PC 호출: 원격 프로시저 호출의 원리와 활용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분야: 분산 시스템 개발자, API 설계자, DevOps 엔지니어
- 난이도: 중간 (RPC 개념과 아키텍처 이해 필요)
핵심 요약
- RPC의 핵심: 원격 서버의 함수를 로컬 호출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(
Remote Procedure Call
). - 구성 요소: 클라이언트/서버 스텁(Client Stub, Server Stub), Serialization(마샬링), IDL(Interface Definition Language).
- 도구 활용: Apidog 같은 도구는 API 설계부터 테스트까지 통합된 작업 흐름을 제공 (
RESTful
,GraphQL
,RPC
지원).
섹션별 세부 요약
1. RPC의 기초 개념
- 분산 컴퓨팅의 필요성: 여러 머신 간의 원활한 통신이 필수적.
- RPC의 역할: 로컬처럼 보이는 원격 함수 호출을 가능하게 함.
- 예시: 요리사가 식재료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설명.
2. RPC 도구의 비교
- Apidog: API 설계, 디버깅, 자동화 테스트 통합.
- Postman 대비 차이: 단일 환경에서 API 생명주기 관리 가능.
- 주요 기능: 시각적 설계, 협업 기능, 자동화 테스트 지원.
3. RPC의 구성 요소와 흐름
- 클라이언트/서버: 클라이언트가 요청, 서버가 실행.
- 스텁: 클라이언트 스텁은 인자 마샬링, 서버 스텁은 결과 언마샬링.
- RPC 런타임: 네트워크 프로토콜, 보안, 오류 처리 관리.
- IDL: 프로시저 정의 (
gRPC
,Protocol Buffers
등 활용).
4. RPC 호출 과정
- 12단계 흐름:
- 클라이언트가 로컬 함수 호출.
- 클라이언트 스텁이 인자를 마샬링.
- RPC 런타임이 서버로 요청 전송.
- 서버 스텁이 요청 언마샬링.
- 서버가 실제 프로시저 실행.
- 결과를 마샬링 후 클라이언트로 반환.
결론
- 실무 팁: RPC는 분산 시스템 개발에 필수적이며, Apidog 같은 통합 도구를 사용하면 API 관리 효율성이 높아짐.
- 핵심: IDL과 스텁을 통해 언어 간 호환성 확보, 마샬링 과정에서 데이터 형식 일관성 유지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