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입력 보호 공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보안
대상자
-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, 보안 엔지니어, Rust 프로그래머
- 중급~고급 수준: Rust 언어 이해, 보안 개념 적용 경험 필요
핵심 요약
- Rust의 Ownership, Borrowing, Lifetimes 시스템은 컴파일 시점에서 메모리 누수/포인터 오류를 방지
- 다중 레벨의 입력 검증 및 HTML 엔티티 인코딩으로 XSS, SQL 인젝션, CSRF 공격 방어
- JWT 기반 인증, 세션 관리, 역할 기반 접근 제어(RBAC)를 통한 보안 강화
- RateLimiter 구조체를 활용한 DDoS 방어 및 요청 제한 메커니즘 구현
섹션별 세부 요약
1. 보안의 중요성과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위협
- SQL 인젝션, XSS, CSRF, DoS/DDoS 공격이 주요 취약점
- 보안은 아키텍처 설계부터 개발, 배포까지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접근 필요
- Rust 언어의 메모리 안전성은 C/C++과의 차별화된 보안 강점 제공
2. Rust 기반 보안 프레임워크의 핵심 기능
- Ownership 시스템으로 double-free, use-after-free 오류 방지
secure_memory_handling
함수 예시: 스코프 종료 시 자동 해제로 메모리 누수 방지- 컴파일 시점 보장: 메모리 누수, 떄문 포인터 없음
3. 입력 검증 및 SQL 인젝션 방어
validator
라이브러리로UserRegistration
구조체에 대한 자동 검증 적용sqlx
라이브러리의 파라메터화 쿼리로 SQL 인젝션 방지secure_database_query
예시:$1
플레이스홀더 사용으로 쿼리 안전성 확보
4. XSS 방어와 CSRF 보호
html_escape
라이브러리로 HTML 엔티티 인코딩 적용 (예:encode_text_to_html
)Content-Security-Policy
헤더로 XSS 방어 확장uuid
라이브러리로 CSRF 토큰 생성 및Set-Cookie
헤더로 보안 쿠키 설정
5. 인증 및 접근 제어
- JWT 기반 인증:
jsonwebtoken
라이브러리로Claims
구조체 생성 및 토큰 생성 authorize_request
함수에서 토큰 유효성 검증 및 사용자 역할 기반 접근 제어header::Header::default()
사용으로 HS256 알고리즘 기반 인증
6. DDoS 방어 및 요청 제한
RateLimiter
구조체로 클라이언트별 요청 제한 (예:check_rate_limit
메서드)HashMap
사용으로 윈도우 기간 내 요청 기록 관리> max_requests
및window_duration
설정으로 DDoS 공격 방어 강화
결론
- Rust의 메모리 안전성과 보안 중심 프레임워크 설계 원칙을 적용하면 SQL 인젝션, XSS, CSRF 등 주요 보안 취약점을 효과적으로 방어
- 입력 검증, 파라메터화 쿼리, JWT 인증, RateLimiter 활용을 반드시 구현해야 함
- 보안은 프레임워크 선택과 개발 과정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적용해야 지속 가능한 보호가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