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afeLine WAF 7.2.3: HTTP Flood 공격 대응을 위한 스마트한 "Waiting Room" 기능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웹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시스템 관리자 (중급~고급 수준)
핵심 요약
- Waiting Room은 HTTP Flood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HTTP 요청을 큐잉하는 스마트한 트래픽 관리 기능으로, IP 기반 제한의 한계를 극복
- WebSocket을 사용하여 실시간 대기열 상태 업데이트 제공, CAPTCHA나 리프레시 루프 없이 사용자 경험 향상
- HTTP Flood 공격은 Layer 7에서 발생하며, IP 프록시 네트워크 사용으로 기존 방어 방식이 무력화되는 문제 해결
섹션별 세부 요약
1. **HTTP Flood 공격의 문제점**
- IP 기반 제한의 한계: 기관, 기업, 카페 등에서 공유 IP 사용으로 정상 사용자가 차단될 수 있음
- IP 프록시 네트워크 사용으로 공격자가 다수의 IP로 트래픽 분산하여 감지 어려움
- 정상 트래픽 스파이크(예: 할인 이벤트, 강의 신청)가 공격으로 오인될 가능성
2. **Waiting Room 기능 개요**
- 트래픽 피크 완화를 위한 큐잉 시스템 구현, 실제 사용자와 공격 트래픽 구분 없이 정상 사용자 대기
- WebSocket 사용으로 실시간 상태 업데이트 제공, 사용자 인터럽트 없이 대기열 관리
3. **Waiting Room 설정 파라미터**
- 활성화 임계값(Active User Threshold): 동시 활성 사용자 수 제한
- 활성 세션 타임아웃(Active Session Timeout): 비활동 사용자 제거 및 재대기 처리
4. **데모 테스트 결과**
- 1개 활성 사용자 제한 시, 2번째 사용자는 즉시 대기열에 추가
- 모바일 사용자는 대기열 상태 메시지 표시, 첫 사용자 종료 시 자동 진입
- WebSocket 통신으로 리프레시 없이 실시간 업데이트
결론
- Waiting Room은 HTTP Flood 공격 대응에 효과적이고, 사용자 경험 저하 없이 트래픽 관리 가능
- IP 기반 제한 대신 큐잉 시스템 도입, WebSocket 통신을 활용한 실시간 업데이트가 핵심
- 트래픽 스파이크가 자주 발생하는 웹사이트(예: 이벤트 플랫폼, 포럼)에 필수적인 보안 기능으로 추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