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케일 가능한 API 구축 전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초보 API 개발자 및 중소 규모 프로젝트에서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해야 하는 개발자
핵심 요약
- 프로젝트 구조 분리: 각 기능(인증, 유저, 결제 등)을 독립된 폴더/모듈로 분리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임
- 루트 버전 관리:
v1/
,v2/
와 같은 버전 접두사 사용으로 기존 클라이언트 호환성 확보 - 로직 분리: 라우트 핸들러는 요청 수신 및 응답 반환만 수행, 복잡한 로직은 서비스 계층으로 분리
- 일관성 유지: 성공/실패 응답 형식을 통일하고 JWT 기반의 무상태 인증을 사용하여 보안 강화
- 검증 및 보안: 클라이언트 입력 검증, 오류 처리 강화, 레이트 리밋 적용으로 보안 및 확장성 향상
섹션별 세부 요약
1. 프로젝트 구조 및 모듈화
- 기능별 폴더 분리(예:
auth/
,users/
,payments/
)로 코드 복잡도 감소 - 초기 단계에서 구조 설계를 무시하면 팀 확장 시 유지보수 어려움 증가
2. 루트 버전 관리
/v1/users
와 같은 구조로 기존 API와 호환성 유지- 초기부터 버전 관리 적용 시 향후 확장 시 일관성 보장
3. 로직 분리 원칙
- 라우트는 요청-응답 인터페이스 역할, 서비스 계층에서 검증/DB 연동 처리
- 테스트 용이성 향상 및 코드 재사용성 증대
4. 응답 일관성
- 모든 성공 응답은 동일한 형식 유지 (예:
{ "data": { ... } }
) - 오류 응답은 HTTP 상태 코드와 명확한 메시지 포함 (예:
400: "Invalid email format"
)
5. 인증 및 권한 관리
- JWT 사용으로 세션 관리 간소화, 토큰 만료 시간 설정 (예:
expires_in: 3600
) - 유저/관리자 권한 구분 및 리소스 접근 제어 조기 설계
6. 입력 검증
- 타입/포맷 검증 외에도 논리적 검증 (예: "사용자가 해당 리소스 소유자인지 확인")
- 서비스 계층에 검증 로직 집중으로 라우트 코드 간결화
7. 오류 처리
- 모든 오류는 HTTP 상태 코드, 명확한 메시지, 내부 정보 노출 금지
- 예:
500: "Internal Server Error" (No stack trace exposed)
8. 보안 및 확장성
- 레이트 리밋 적용으로 악의적 요청 방지 (예:
1000 requests/minute
) - 초기부터 보안 프로토콜 적용 (예: HTTPS, 입력 검증)
9. 테스트 전략
- 인증, 핵심 비즈니스 로직, 복잡한 기능에 대한 테스트 강화
- 테스트는 리팩토링 시 신뢰도 향상 및 회귀 오류 검출
10. 과도한 복잡성 회피
- "엔터프라이즈 방식"은 필요 시점에만 도입, 초반 단계는 간단한 구조 유지
- 예: Flask, FastAPI 등 사용 시 복잡한 아키텍처 회피
11. 문서화
- 엔드포인트 명세, 에러 메시지, README 설치 지침 명시
- 복잡한 로직 부분에 주석 추가로 향후 개발자 이해도 향상
결론
- API 설계 시 간결성, 일관성, 문서화를 우선시하고, 버전 관리 및 서비스 계층 분리를 적용해야 확장성이 확보됨.
- 초반 단계부터 보안과 테스트 전략을 고려하여, 향후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는 것이 핵심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