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코드 작성 전 사고 과정 | React, Next.js

코드 작성 전: 시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사고 과정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프론트엔드 개발자, 특히 React/Next.js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중급 이상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컴포넌트의 책임과 데이터 흐름 정의 (props, query params, context, onClick 등)
  • 상태 관리 전략 선택 (useState, Redux, Zustand, localStorage 등)
  • 성능 최적화와 오류 처리 고려 (debounce, memoization, ErrorBoundary, Suspense)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JSX 작성 전 고려 사항

  • 컴포넌트의 주요 기능 정의 (modal, dropdown, 데이터 fetching 등)
  • 기존 hooks/utiities 재사용 가능성 검토
  • 데이터 흐름의 단일성 보장 (30초 내에 흐름 추적 가능)

2. 상태 관리 전략

  • 로컬 상태 (useState) vs 글로벌 상태 (Redux/Zustand) 선택
  • localStorage를 통한 상태 지속성 고려
  • 다중 컴포넌트 영향 분석 (overengineering/under-planning 방지)

3. 재사용성과 일반화

  • Dropdown, UserDropdown 등 컨텍스트별 컴포넌트 설계
  • custom hook 또는 utility로 로직 분리
  • 하드코딩된 코드의 미래 유지비용 고려

4. 성능 최적화

  • 대규모 데이터 처리 시 debounce, virtualization 적용
  • 불필요한 re-render 방지 (component 분할, memoization)
  • 애니메이션 및 복잡한 계산 시 concurrency 처리

5. 오류 처리 및 UX

  • API 실패 시 ErrorBoundary, Suspense, fallback UI 적용
  • 사용자 알림 및 로그 기록 메커니즘 구현
  • graceful failure 전략 (no data, network error 대응)

결론

  • 10-15분의 사전 설계 시간이 1시간 이상의 리팩토링 시간을 절약
  • React, Next.js, Zustand, Redux 등의 프레임워크 특성에 맞는 설계 원칙 적용
  • useMemo, useCallback, useEffect 등 React hooks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 유지보수성 향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