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리스 아키텍처를 통한 AI/ML 확장성 향상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인공지능, 머신러닝
대상자
- AI/ML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, 데이터 과학자
- 난이도: 중급 이상 (서버리스 배포, 모델 최적화, AWS Lambda 활용)
핵심 요약
- 비용 효율성:
pay-per-use
모델로 비활성 상태 시 비용 절감 - 자동 확장:
AWS Lambda
등의 서버리스 플랫폼이 요청량에 따라 자동 스케일링 -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:
API Gateway
와 연동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 가능 - 모델 최적화 전략:
Quantization
,ONNX
,Provisioned Concurrency
활용
섹션별 세부 요약
1.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AI/ML 활용 장점
- 비용 절감: 서버리스는
always-on 서버
필요 없이 비활성 시 비용 절감 - 자동 확장:
AWS Lambda
가 요청량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 조정 - 운영 간소화: 서버 관리, 패칭, 유지보수 필요 없이 모델 개발 집중 가능
- 이벤트 기반 처리:
API Gateway
와 연동하여 실시간 데이터 입력 대응 가능
2. AI/ML의 주요 서버리스 활용 사례
- 실시간 추론:
fraud detection
,personalized recommendation
등에 적용 - 데이터 전처리:
AWS S3
에 업로드된 데이터를Lambda
로 자동 전처리 - 지능형 자동화:
customer support ticket routing
,document categorization
- 배치 추론:
AWS Fargate
와 결합하여 대규모 배치 처리 가능
3. AWS Lambda 기반 ML 모델 배포 가이드
- Lambda 함수 코드:
```python
import json
import numpy as np
import pickle
def lambda_handler(event, context):
# 모델 로드 및 추론 로직
```
- 의존성 관리:
- Lambda Layers: NumPy
, Scikit-learn
등 공통 라이브러리 사용
- Docker 컨테이너: PyTorch
, TensorFlow
등 복잡한 환경 지원
- Amazon EFS: 대규모 모델 파일 저장 및 동적 로드
4.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주요 도전 과제 및 해결 전략
- Cold Start 문제:
- Provisioned Concurrency
로 초기 지연 감소
- 메모리 제한: 모델 크기 줄이기 위해
Quantization
,Pruning
적용 - 모니터링:
CloudWatch
로 함수 실행 상태, 오류, 성능 지표 모니터링 - 비용 최적화: 메모리 및 실행 시간 조정으로 비용 절감
결론
- 서버리스 아키텍처는 AI/ML 모델의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며,
AWS Lambda
와API Gateway
활용이 핵심 - 모델 최적화(
Quantization
,ONNX
)와Provisioned Concurrency
설정을 통해 cold start 문제 해결 - 실무에서는
Lambda Layers
,EFS
,Docker
등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의존성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수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