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랜스미터(TX)로 API 대체하는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  • 대상: 서버리스 아키텍처에 관심 있는 개발자
  • 난이도: 중급 (기본적인 CLI 명령어 사용 능력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트랜스미터(TX)는 전통적인 API 대신 사용되는 새로운 서버리스 통신 방식
  • Neuronum 5.3.0 라이브러리 사용을 통해 TX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축 가능
  • neuronum CLI를 통해 셀 생성, 노드 초기화, 트랜스미터 활성화 등 주요 단계 수행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Neuronum 라이브러리 설치

  • pip install neuronum 명령어로 Neuronum 5.3.0 의존성 설치
  • neuronum create-cell 명령어로 트랜스미터(TX)를 호스팅할 셀 생성
  • neuronum delete-cell 명령어로 계정 삭제 가능

2. 노드 초기화 및 실행

  • neuronum init-node --app 명령어로 앱 템플릿 기반 노드 초기화
  • cd node_ 명령어로 생성된 노드 폴더 이동
  • neuronum start-node 명령어로 노드 실행

3. 트랜스미터(TX) 설정

결론

  • TX 기반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API 대체로 가벼운 웹 서비스 구축 가능
  • neuronum CLI 명령어를 통해 간단한 설정으로 트랜스미터 활성화
  • TX ID 정확히 설정하고 노드 성능 모니터링 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