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리스 DB로 개발 비용·시간 절약 방법

개발 비용·시간 절약 '일석이조'…빅테크가 꽂힌 '서버리스 DB' 정체는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DevOps

대상자

  • *소프트웨어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**
  • 난이도: 중급 (서버리스 아키텍처 이해 필요)*

핵심 요약

  • 서버리스 포스트그레SQL은 서버 관리 없이 자동 확장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.
  • 마이크로소프트는 GitHub Copilot에 PostgreSQL 기능을 추가해 AI 기반 SQL 개발을 지원한다.
  • AWS와 데이터브릭스는 서버리스 DB 기술에 대한 투자와 통합을 강화하고 있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서버리스 DB의 정의와 기능

  • 포스트그레SQL은 오픈소스 관계형 DB로, 서버리스 버전은 클라우드에서 자동 리소스 관리가 가능하다.
  •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를 조절하여 전력과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.
  • 예: 자동조명 시스템처럼 사용자가 접근 시 자동 실행, 이탈 시 종료 기능.

2. AI 앱 개발에의 적합성

  • AI 앱은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이며, 서버리스 DB의 자동 확장 기능으로 부하 대응 가능.
  • 테스트/프로토타입 단계에서도 사용량 기반 요금제로 비용 부담 감소.
  • 예: 챗봇 사용량 증가 시 자동으로 저장 용량 확장.

3. 빅테크의 투자 동향

  • AWS는 Aurora DSQL에 서버리스 기능을 제공하고, 2024년 리인벤트에서 속도 향상 업그레이드.
  • 데이터브릭스는 네온을 10억 달러에 인수해 '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'에 통합.
  • 마이크로소프트는 GitHub Copilot에 PostgreSQL 기능을 추가해 AI 기반 SQL 작성 지원.

결론

  • 서버리스 DB는 AI 앱 개발 시 비용, 시간, 인력 자원을 절감하는 핵심 인프라로, AWS, 데이터브릭스,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주도하고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