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버리스, 서버사이드 렌더링,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비교 분석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웹 개발자,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, SEO 전문가, 프로젝트 기획자
핵심 요약
- 서버리스는 개발자가 서버 관리 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, SEO 최적화에 부적합하며 선택한 제공업체의 성능에 의존해야 한다.
-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은 동적 콘텐츠 생성에 유리하지만, 검색 엔진 크롤러와 호환성 저하 및 URL 경로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.
- 서버사이드 렌더링은 검색 엔진 인덱싱에 최적화되며, HTTP 요청에 따른 정적 콘텐츠 반환으로 SEO에 유리하다.
- 컴파일된 정적 콘텐츠는 서버리스 배포에 효율적이며, 프레임워크 없이 간단한 문자열 대체 스크립트로도 생성 가능하다.
섹션별 세부 요약
1. 동적 웹사이트 vs 정적 웹사이트
- "동적"은 콘텐츠가 요청 조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며, "정적"은 HTML 파일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을 가리킴.
- 검색 엔진 크롤러는 JavaScript 런타임을 실행하지 못해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 콘텐츠를 인식하지 못함.
2. 서버리스의 정의 및 한계
- 서버리스는 개발자가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지만, 제3자 서비스가 서버 역할을 수행함.
- 선택한 서비스 제공업체의 성능, 가격, 확장성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 여부가 결정됨.
3.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의 문제점
- SEO 최적화 불가능: 검색 엔진이 JavaScript 실행 없이 콘텐츠를 파싱하지 못함.
- URL 경로 관리 어려움: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은 경로 기반 URL을 지원하지 않음.
4. 서버사이드 렌더링의 장점
- HTTP 요청에 따라 정적 HTML 반환으로 검색 엔진 인덱싱에 최적화됨.
- JavaScript 런타임이 필요 없는 단순한 HTML 구조로 검색 엔진이 콘텐츠를 쉽게 파싱함.
5. 컴파일된 정적 콘텐츠의 효율성
-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 기반의 정적 콘텐츠를 컴파일하여 서버리스 호스팅에 최적화됨.
- ASP.NET Core, Flask 등 프레임워크 없이도 문자열 대체 스크립트로 생성 가능.
결론
- SEO 기반 프로젝트는 서버사이드 렌더링을,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중시하는 프로젝트는 서버리스 + 컴파일된 정적 콘텐츠를 선택해야 한다.
- 클라이언트사이드 렌더링은 AI/LLM과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검색 엔진 최적화에 부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