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eating Immersive Experiences with Interaction | Simplicity

인터랙션으로 만드는 몰입 경험 | Simplicity 4 제작기 #3

카테고리

디자인

서브카테고리

UX 디자인

대상자 대상자_정보 출력

  • UX 디자이너, 이벤트 플랫폼 개발자, 온라인 컨퍼런스 기획자
  • 난이도: 중급~고급 (인터랙션 디자인 전략 및 템플릿 시스템 구축 기법 포함)

핵심 요약

  • "몰입감 유도"를 위해 가로/세로 스크롤 조합, 템플릿 기반 시스템화, 자막 점진적 노출 등의 인터랙션 전략을 도입
  • 모바일/데스크탑 최적화를 위한 다중 시안 테스트, 터치/호버 액션 분리, 3분할 화면 전환 등 사용자 흐름 설계
  • 12개 템플릿으로 콘텐츠 제작 시스템화하여 반복 작업 최소화 및 일관성 강화

섹션별 세부 요약

###섹션별_세부요약 출력

  1. 이전 시즌 문제점 분석
  • 중간 이탈률 30%에 달하며, 콘텐츠 과부하와 모바일 호환성 부족 등 4가지 원인 파악
  • "한 화면에 너무 많은 정보" → 사용자 혼란 유발
  • "자막 한 번에 노출" → 집중력 저하 문제
  1. 모바일/데스크탑 최적화 전략
  • 모바일: 가로/세로 스크롤 조합 + 프리뷰 자동 재생 → 짧고 빠른 흐름 유도
  • 데스크탑: 가로 스크롤 기반 포커싱 구조 → 시야 확장과 집중력 유지
  • 공통 기능: 상단에 목차/재생바/ 홈 버튼 배치, 터치 이펙트/호버 액션 분리
  1. 템플릿 기반 시스템화
  • 16개 템플릿 기획 → 12개로 축소, UI/인터랙션 방식 정의 → 반복성 제거
  • 템플릿별 텍스트 등장 방식, 배경 전환 효과 차별화 → 지루함 방지
  • 시스템화된 구조로 콘텐츠 제작 리소스 절감 및 일관성 확보
  1. 자막 디자인 개선
  • 음성 타이밍에 맞춘 자막 점진적 노출 → 자연스러운 리듬감 유도
  • 초기 시안의 문장 끝부분 "딱 끊김" 문제 → 자연스러운 완성도로 개선

결론

  • "사용자 흐름 설계"가 핵심 → 콘텐츠 유형별 인터랙션 템플릿으로 일관성 확보
  • 모바일 중심 설계 + 데스크탑 최적화 전략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몰입감 유지
  • 자막/인터랙션 디테일 개선으로 사용자 경험 향상, 템플릿 기반 시스템화로 반복 작업 효율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