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만무] Socket.IO와 Redis로 만드는 대규모 동시 접속 서비스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, 개발 툴, DevOps
대상자
- *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, DevOps 엔지니어**
- 중급 이상의 JavaScript 및 Node.js 기술 필요
- 웹소켓, Redis, 클러스터링에 대한 이해가 필요
- 실시간 서비스 구축 경험자에게 유용
핵심 요약
- Socket.IO는 안정적인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라이브러리로, Redis 어댑터와의 연동으로 멀티 서버 환경에서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하다.
- Redis 어댑터를 통해 서버 간 이벤트 공유가 가능해져, 하나의 서버처럼 동작하게 된다.
- Socket.IO + Redis는 Auto Scaling 환경에서도 실시간 통신 유지가 가능하다.
- drawPixel 이벤트는 기존 로직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, Redis 연결은 npm install redis @socket.io/redis-adapter로 설치 가능하다.
各节详细摘要
1. Websocket의 필요성
- HTTP는 단일 요청-응답 방식으로, 실시간 통신 시 지연 발생
- Websocket은 연결 유지 상태에서 양방향 데이터 전송 가능
- drawPixel 이벤트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 가능
2. Socket.IO의 핵심 특징
- 자동 재연결 기능 제공
- 이벤트 기반 통신으로 코드 정리 가능
- 다중 환경 지원 (Websocket 미지원 환경에서 Fallback 처리)
3. 멀티 서버 환경 구현
- Load Balancer 사용 시 서버 간 이벤트 통신 불가 문제 발생
- Redis를 통해 서버 간 메시지 공유 가능
- Redis Pub/Sub 기능으로 실시간 브로드캐스트 구현
4. Redis 어댑터 설정
- npm install 명령어로 라이브러리 설치
- createClient로 Redis 연결 설정
- createAdapter로 Redis와 Socket.IO 연동
- io.adapter 설정 후 drawPixel 이벤트 처리 가능
5. Auto Scaling 환경 대응
- 새로운 인스턴스 생성 시 Redis 어댑터 설정만으로 자동 참여 가능
- 모든 서버가 공유된 Redis에 연결되어 실시간 통신 유지
결론
Socket.IO와 Redis 어댑터를 사용하면 대규모 동시 접속 서비스에서 실시간 통신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. Redis Pub/Sub 기능을 통해 서버 간 메시지 공유가 가능해지며, Auto Scaling 환경에서도 실시간 통신 유지가 가능하다. drawPixel 이벤트 처리 시 기존 로직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, Redis 연결 설정은 간단한 코드로 완료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