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핵심 원칙: 깨끗한 코드와 기술 부채 관리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- 중급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팀 리더
-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개발자
- 프로젝트의 장기적 성공을 목표로 하는 엔지니어링 팀
핵심 요약
- 깨끗한 코드는 가독성, 유지보수성, 확장성을 갖춘 코드를 의미하며, Robert C. Martin의 "well-written prose" 원칙을 따름
- 기술 부채는 즉각적인 생산성을 위한 단기적 선택으로 인해 발생하며, 장기적으로 프로젝트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
- 코드 품질을 높이기 위해는 의미 있는 이름, 작은 함수, DRY 원칙, 자동화된 형식 관리, 분리된 책임을 준수해야 함
섹션별 세부 요약
1. 깨끗한 코드란 무엇인가?
-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중시하는 코드 스타일
- Robert C. Martin은 깨끗한 코드가 문장처럼 읽힐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
- 협업과 디버깅에 유리하고, 업데이트 시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임
2. 깨끗한 코드의 핵심 원칙
- 의미 있는 이름 사용: 예)
elapsedTimeInDays
대신d
사용 금지 - 작은 함수: 하나의 책임만 수행하며, 스크롤이 필요한 함수는 과도하게 복잡함
- DRY 원칙: 중복을 피하고 정보를 한 곳에 집중
- 일관된 형식: Prettier, ESLint 등 도구 활용
- 적절한 주석: "왜?"에 초점, "무엇?"은 코드 자체로 설명
- 책임 분리: HTTP 처리와 데이터베이스 로직은 분리
3. 실무 예시: 깨끗한 코드 적용
- 사용자 인증 API 개발에서
AuthService
,TokenValidator
,Logger
등 명확한 클래스 분리 - 테스트, 디버깅,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한 구조 제공
- 모듈화된 코드는 테스트와 확장이 용이
4. 기술 부채의 정의와 유형
- 기술 부채는 즉각적인 생산성을 위해 짧은 기간에 편법적인 선택으로 인해 발생
- 의도적 기술 부채: 예) 하드코딩된 설정 후 리팩토링 계획
- 사고 기술 부채: 경험 부족이나 잘못된 설계로 인한 코드 중복
- 비트 로트: 시간이 지나면서 코드가 오래된 설계에 기반해 유지보수가 어려워짐
5. 기술 부채 관리 전략
- 기술 부채 레지스터 작성: 예) Jira 등 도구 활용
- 리팩토링 주기적 실행: 스프린트 내 리팩토링 시간 확보
- 자동화 테스트: 리팩토링 시 회귀 오류를 방지
결론
- 깨끗한 코드는 장기적인 유지보수와 확장성을 위한 필수적인 투자이며, 의미 있는 이름, 작은 함수, DRY 원칙, 형식 관리, 책임 분리를 준수해야 함
- 기술 부채는 관리 가능한 비용으로 간주하고, 적절한 도구와 리팩토링 계획을 통해 장기적으로 줄여야 함
- 실무에서는 자동화 테스트와 문서화를 병행하며, 팀 내 협업과 품질 관리를 강화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