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자로서의 핵심은 기본을 익히는 것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초보 개발자 및 취업 준비 중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(난이도: 중간)
핵심 요약
- "소프트웨어 메커니크"가 아닌 "엔지니어"가 되기 위해 기본 원리와 첫 원칙(First Principle)을 익혀야 한다
- MongoDB, pubsub 큐 등 도구의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한 채 사용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에 방해가 된다
- AI 도구를 단순한 CRUD 앱으로만 활용하는 대신, 근본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다
섹션별 세부 요약
1. 취업 실패 경험과 반성
- 100개 기업 지원 및 GSoC 참여 후도 취업 실패 경험을 통해 자신의 기술적 한계를 인식
- 기존 프로젝트가 GPT 래퍼나 기본 CRUD 앱에 머무르는 이유를 고찰
- 개발자로서의 자존감과 실력 간의 격차를 인식
2. 도구 사용의 문제점
- MongoDB, pubsub 큐 등 핵심 기술 스택의 작동 원리 이해 부족
- "소프트웨어 메커니크"로 비유된 상태: 도구 사용에만 집중하고 원리 파악을 소홀히 함
- AI 도구의 과도한 의존이 기술적 성장에 방해가 된다는 점 강조
3. 기계 엔지니어와의 차이점
- 자동차 기술자(메커니크)와 기계 엔지니어의 차이: 단순 수리 vs. 원리 기반 개선
-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"블랙박스"를 논리로 전환해 문제를 해결해야 함
- 첫 원칙(First Principle) 기반의 사고방식이 필요하다는 점 강조
4. 실천 방향 제시
- CS 기초 과목(예: 알고리즘, 데이터 구조)의 중요성 재인식
- 소비자 문제 해결이 부차적 결과가 되어야 한다는 점 강조
- 간단한 "플레이 그라운드" 프로젝트를 통해 기초를 익히는 방식 제안
결론
- "도구의 내부 메커니즘을 이해하고, 첫 원칙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진정한 개발자의 핵심"
- AI 도구를 단순한 CRUD 앱으로만 활용하지 말고, 기본 원리를 학습하고 첫 원칙 기반의 프로젝트 개발을 추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