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olid JS와 React의 차이점, 왜 개발자가 사랑하는가?

Solid JS: React 개발자가 왜 사랑하게 될까요?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- React 개발자

- 성능 최적화 및 외부 라이브러리 통합 필요성 있는 개발자

- 중간 수준의 프레임워크 전환 경험자

핵심 요약

  • Solid JS는 React와 유사한 문법을 가지되, fine-grained reactivity로 성능 문제를 해결
  • 외부 라이브러리(예: D3.js, vis-timeline)와의 통합이 React보다 훨씬 간단
  • useStatecreateSignal, useEffectcreateEffect 등으로 React의 핵심 API와 호환 가능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React의 성능 문제

  • 대규모 컴포넌트에서 불필요한 재렌더링으로 인한 레이그

- useState로 상태 관리 시, ExpensiveComponent가 매번 재렌더링

- ref 사용 필수지만, 상태와 ref 동기화가 복잡

  • 드래그/드롭, 폼 입력 등에서의 성능 저하

- useRef, useMemo, useCallback 복잡한 조합 필요

2. 외부 라이브러리 통합의 어려움

  • Vanilla JS 라이브러리(D3.js, GSAP 등)와 React 통합 시 useEffect, useRef로 인한 불안정성

- 상태와 외부 라이브러리 동기화 실패 → 레이그 및 데이터 불일치 발생

- 예: vis-timeline은 React/ Solid 포트 없음 → refonMount로 복잡한 처리 필요

3. Solid JS로의 전환 및 핵심 API

  • React와 유사한 문법으로 학습 곡선 낮음

- createSignal로 상태 관리 → useState 대체

- createEffectuseEffect 대체, onMount로 초기화 처리

  • 성능 최적화 자동화

- fine-grained reactivity로 필요한 부분만 업데이트 → useMemo, useCallback 불필요

- 예: ResizableComponentExpensiveComponent 재렌더링 없이 매끄럽게 작동

4. 외부 라이브러리 통합 예제

  • vis-timeline 통합

- ref 생성 후 onMount에서 Vanilla JS 코드 실행

- Timeline 인스턴스 생성 및 컨테이너에 삽입

  • D3.js 통합

- onMount에서 SVG 생성 및 축/데이터 렌더링

- d3.scaleUtc(), d3.axisBottom() 등 사용

5. 상태 관리 및 컨텍스트 처리

  • createSignal로 외부 상태 관리 가능

- count 상태는 컴포넌트 외부에서도 접근 가능

- createEffect로 상태 변화에 반응하는 로직 구현

  • Redux 대체로 store 구현 가능

- createSignalcreateEffect로 상태 공유 및 관리

결론

  • Solid JS는 React와 유사한 문법과 fine-grained reactivity로 성능 문제를 해결하며, 외부 라이브러리 통합을 간소화
  • useStatecreateSignal, useEffectcreateEffect로의 전환으로 React 개발자도 쉽게 사용 가능
  • onMountref 활용으로 Vanilla JS 라이브러리 통합이 간편
  • "Fine-grained reactivity"로 성능 최적화가 자동화되며, useMemo, useCallback 불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