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간스크래퍼를 지을 때의 핵심 전략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DevOps
대상자
- 프로젝트 매니저, 팀 리더, 엔지니어, CEO 등 복잡한 기술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줌*
- 중간~고급 수준: 전략적 실행과 프로세스 최적화에 초점*
핵심 요약
- "Motion" vs. "Action" 구분: 프로젝트 실행에서 "Motion"(예: 계획 수립, 학습)은 결과를 생성하지 않지만, "Action"(예: 실제 코드 작성)은 측정 가능한 진행을 만든다.
- 작은 단계로 시작: "Start before you’re ready"는 완벽주의를 버리고 즉각적인 실행을 추구하는 전략이다.
-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: "Lead measure"(예: 사용자 행동 데이터)를 통해 진행을 측정하고, 다음 단계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확보한다.
섹션별 세부 요약
1. 복잡한 디지털 자산 개발의 도전
- "Spacescraper" 비유: 기술 프로젝트는 기존의 스카이스케이퍼보다 더 복잡한 "공간스크래퍼"처럼 느껴질 수 있다.
- 전문가의 역할: 팀의 전문성과 협업이 필수적이며, 개인의 전문 분야가 아닌 영역에 대한 부담감은 자연스럽다.
2. "Motion"과 "Action"의 차이
- James Clear의 정의:
- Motion: 계획, 전략, 학습(예: 20개의 글 주제 작성)
- Action: 실행(예: 실제 글 작성)
- 문제점: Motion은 진행처럼 보이지만, Action이 실제 결과를 만들어낸다.
3. 실행 전략: 작은 단계로 시작
- "Start before you’re ready": 완벽한 준비 없이도 즉각적인 실행을 시작해야 한다.
- 예시:
- Sean Cannell의 조언: 창작자에게 "준비가 되기 전에 시작하라"는 캐치프레이즈를 강조.
- Voltaire의 명언: "완벽함은 좋은 것의 적이다."
4. 데이터 기반의 진행 측정
- "Lead measure": 작은 실행(예: 사용자 행동)으로 데이터 생성 → 향후 실행의 기반 제공.
- 실무 적용:
- 작은 변화의 빈도: 수많은 층을 지으면서 지속적인 피드백을 확보.
- 결과 측정: 완성된 공간스크래퍼가 아닌 층별 진행을 기준으로 평가.
결론
- 핵심 팁:
- "Motion"을 최소화하고 "Action"에 집중해야 한다.
- 작은 실행으로 데이터 생성 → 향후 전략 수립에 활용.
- 완벽주의를 버리고 즉각적인 실행을 통해 진행의 동력을 유지하라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