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ay 18 – Spring Boot에서 @PostMapping, @GetMapping, @PutMapping 학습 및 실습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Spring Boot로 REST API 개발을 배우는 초보 개발자 및 중급자 (CRUD 구현에 관심 있는 자바 개발자)

핵심 요약

  • @PostMapping@GetMapping을 활용한 JSON 데이터 전송과 동적 라우팅, 쿼리 파라미터 처리 방법 정리
  • @PutMapping을 통한 기존 데이터 업데이트 API 구현 및 Postman으로 테스트 수행
  • CRUD 기능의 점진적 완성과 DELETE, 예외 처리로 이어지는 학습 계획 제시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`@PostMapping` 및 `@GetMapping` 리뷰

  • JSON 데이터 전송: @PostMapping을 사용해 요청 본문에 JSON 데이터를 보내고, @RequestBody로 파싱
  • 동적 라우팅: @GetMapping에서 쿼리 파라미터(?id=1)를 처리해 동적 경로 생성
  • 응답 처리: ResponseEntity를 활용한 상태 코드와 응답 본문의 유연한 관리

2. `@PutMapping` 기반 데이터 업데이트

  • PUT 메서드 사용: @PutMapping으로 기존 리소스 수정 API 설계 (예: /update/{id})
  • 데이터 매핑: @PathVariable@RequestBody를 통해 경로 파라미터 및 요청 본문 데이터 추출
  • Postman 테스트: PUT 요청 시 Body 탭에서 JSON 형식 데이터 입력 후 응답 검증

3. 학습 진행 상황 및 다음 단계

  • CRUD 기능 통합: 생성(create), 조회(get), 수정(put)이 원활하게 동작하는 상태 확인
  • DELETE 및 예외 처리 계획: 다음 날 DELETE 메서드와 @ExceptionHandler를 통한 오류 처리 학습 예정
  • 테스트 강조: Postman을 통한 API 테스트의 중요성 재확인

결론

  • @PostMapping, @GetMapping, @PutMapping을 활용한 CRUD 구현은 Spring Boot REST API 개발의 핵심이며, Postman으로 테스트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것
  • DELETE 메서드와 예외 처리를 추가해 전체 CRUD 기능을 완성하는 것이 다음 학습 목표
  • RESTful API 설계 원칙을 준수하며, @RequestBody, @PathVariable 등 주요 어노테이션의 정확한 사용법을 숙지해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