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QL for Everyone: The Ultimate Starter Guide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데이터 분석
대상자
- 초보 개발자 및 데이터 분석 초보자에게 적합
- 기초 개념 설명 중심으로 구성, SQL 및 NoSQL 데이터베이스 선택 기준에 대한 실무 적용 지침 포함
핵심 요약
- 데이터베이스의 정의: 데이터를 구조화된 형태로 저장하고 쿼리로 쉽게 검색/갱신할 수 있는 시스템 (
ACID
원칙 준수). - 데이터베이스 유형:
- 관계형(SQL): MySQL
, PostgreSQL
등, 테이블 기반 구조.
- 비관계형(NoSQL): MongoDB
, Redis
등, 유연한 스키마와 문서 기반 데이터 저장.
- 선택 기준:
- SQL: 복잡한 쿼리, ACID 보장이 필요한 시스템 (예: 금융, ERP).
- NoSQL: 실시간 분석, 대규모 데이터 처리, 유연한 스키마 필요 시 (예: IoT, 채팅 앱).
섹션별 세부 요약
1. 데이터베이스란?
- 핵심 기능:
- 영구 저장: 앱 종료 후 데이터 손실 방지.
- 구조화: 테이블, 스키마 등을 통해 데이터 정리.
- 쿼리 효율성: SQL 등 언어로 데이터 검색/필터링.
- 사용 사례:
- 사용자 정보 저장, 제품 관리, 주문 처리, 리뷰 데이터 저장.
2. 데이터베이스 유형
- 관계형(SQL):
- 테이블 기반 (행/열 구조).
- 고정 스키마 (사전 정의된 테이블 구조).
- 예: MySQL
, PostgreSQL
.
- 비관계형(NoSQL):
- 유연한 스키마 (문서, 키-값, 그래프 등).
- 수평 확장이 용이.
- 예: MongoDB
, Redis
.
- 기타 유형:
- 메모리 기반: Redis
, Memcached
(빠른 읽기/쓰기).
- 그래프 기반: Neo4j
(노드/엣지 기반 관계 데이터).
3. SQL vs NoSQL 비교
- 구조:
- SQL: 테이블 기반 (행/열).
- NoSQL: 문서, 키-값, 그래프 등 유연한 형식.
- 스케일링:
- SQL: 수직 확장 (강력한 서버).
- NoSQL: 수평 확장 (다수 서버 추가).
- 사용 사례:
- SQL: ACID 준수가 필수인 시스템 (예: 은행, ERP).
- NoSQL: 실시간 분석, 대규모 데이터 처리 (예: IoT, 채팅 앱).
4. 예제 데이터 형식
- SQL (관계형):
```sql
id | name | email
---|-------|---------
- | Alice | alice@mail.com
```
- NoSQL (문서 기반):
```json
{
"_id": "1",
"name": "Alice",
"email": "alice@mail.com"
}
```
결론
- SQL은 복잡한 쿼리와 데이터 일관성이 필요한 시스템에, NoSQL은 유연성과 수평 확장이 필수인 경우에 선택.
- 데이터 유형과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유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