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oic Developer: Clean Code, Technical Debt, and Prohairesis

깨끗한 코드는 사라지고, 관리는 계속된다: 스토이시한 개발자처럼 만들어보고 내려놓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개발 툴

대상자

  • 소프트웨어 개발자
  • 중간~고급 수준 (기술 부채, 코드 관리, 스토이시즘 등 고급 주제 다루움)

핵심 요약

  • 기술 부채는 버그가 아니라 '망각'에서 발생 (예: 경계 조건 누락, 이름 지정 실수 등)
  • 코드는 강화된 원칙을 기억하고, 소홀히 된 것을 잊는다 (→ 일관성 유지 중요)
  • 프로하이레시스(Prohairesis): 작은 선택과 리뷰에서의 원칙 적용이 장기적 유지에 핵심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시스템 파손의 근본 원인

  • 기술 부채는 사고가 아닌 '망각'에서 발생 (예: 경계 조건 이탈, 원칙 소홀)
  • Build가 성공하더라도 코드 품질은 점진적으로 저하 (변화가 느껴지지 않음)
  • 코드는 '강화된 것'을 기억하고, '소홀히 된 것'을 잊는다 (→ 일관성 유지 중요)

2. 리듬과 의도 복귀

  • 의도가 습관에 묻혀가는 순간, 관리가 필요하다 (예: 성능 우선으로 인한 원칙 훼손)
  • 기술적 명확성과 원칙을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 생산성에 기여
  • '관심'과 '구조화'는 코드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

3. 프로하이레시스의 적용

  • 소규모 선택과 리뷰에서의 원칙 적용이 장기적 유지에 핵심 (예: 코드 리뷰 시 작은 선택의 영향 강조)
  • '유연성'이 자유처럼 느껴지지만, 아무것도 지지하지 않을 경우 위험
  • 결과에 집착하기보다 '과정'에 집중하는 스토이시즘의 중요성 강조

4. 개발자에게 필요한 접근

  • 속도보다 명확성, 관심, 정직이 더 중요한 개발자에게 해당
  • 코드는 '건강한 관리'가 아니라 '관심'에서 비롯된다는 인식 전환 필요
  • 장기적인 유지 가능성을 위한 '의도'와 '원칙'의 반복 강화

결론

  • 기술 부채를 줄이려면 '의도'와 '관심'을 일관되게 반복하고, 작은 선택에서 원칙을 적용해야 함 (예: 프로하이레시스 적용, 코드 리뷰 강화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