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oryblok MCP Server: AI-Powered CMS Integration

스토리블록 MCP 서버 소개: AI와 CMS의 직접 연결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

대상자

- 개발자, 마케터, 콘텐츠 창작자: Storyblok CMS를 사용하는 사람, AI 도구와의 연동이 필요한 사람

- 난이도: 중급~고급 (API, MCP 서버, 인공지능 통합 기술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Storyblok MCP 서버자연어로 CMS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AI 인터페이스로, 42개의 도구(4개는 AI 도구 포함)를 제공합니다.
  • MC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Storyblok APIGemini 2.0 Flash를 활용해 스토리, 자산, 태그, 릴리스 관리가 가능합니다.
  • 보안 고려사항으로 Cursor에 토큰을 직접 저장하도록 설계되어, 사용자 데이터 유출 위험을 최소화합니다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🧠 Introduction

  • 기존 CMS 관리의 문제점: 대시보드의 복잡성, 수동 작업의 비효율성, 코드 변경의 부담.
  • 목표: AI를 통해 CMS 작업을 자연어로 처리하고, 개발자 작업 부담을 줄이기 위한 MCP 서버 개발.

2. 🚀 What I Built

  • MCP 서버 기능:

- AI가 스토리 생성/수정, 자산 업로드, 릴리스 롤백 등 가능.

- 42개 도구 제공 (스토리, 자산, 태그, 컴포넌트 등).

  • 사용 예시: "스토리 123456789를 스페인어로 번역", "자산의 대체 텍스트 생성" 등.

3. 🎥 Demo

  • 자연어 입력 예시:

- "스토리 123456789에 'Test' 태그 추가"

- "June Campaign 폴더의 모든 스토리를 출판"

  • AI가 자동으로 API 호출하여 작업 수행.

4. 🛠 Tech Stack

  • 핵심 기술:

- Node.js + TypeScript (서버 및 도구 핸들링)

- pnpm (패키지 관리)

- MCP TypeScript SDK (MCP 프로토콜 구현)

- Storyblok API (CMS 프로그래밍적 제어)

- Gemini 2.0 Flash (AI 툴 텍스트 생성)

5. 🧩 How I Used Storyblok

  • Storyblok의 강점 활용:

- API-first 설계로 CMS 작업 유연성 제공.

- 모듈식 콘텐츠 관리를 통해 스토리, 자산, 태그 등 1차 요소로 처리.

  • AI 통합: update_story, fetch_assets, create_release 등의 API 호출 가능.

6. 🤖 AI Integration

  • AI의 역할:

- 자연어 명령을 API 호출로 변환 (예: "June Campaign 폴더의 스토리 출판").

- 문맥 유지, 롤백, 모糊한 슬러그/태그 검색 기능 제공.

  • 보안 강화: Cursor에 토큰 저장으로 사용자 정보 유출 방지.

7. 📓 Learnings and Takeaways

  • 개발 과정의 어려움:

- MCP 서버 구현 경험 없음, Storyblok API 연동에 시간 소요.

- Anmol Baranwal의 MCP 가이드를 참고해 구현 완료.

  • 프로젝트의 가치:

- 시간 절약, CMS 작업의 매직화, AI 도구와의 호환성.

- 개발자, 마케터, 창작자 모두에게 유용.

8. 🏁 Final Thoughts

  • 향후 개선 방향:

- AI 기능 확장, 사용자 맞춤형 도구 추가.

  • 프로젝트 목적:

- AI와 CMS의 결합을 통해 작업 효율성 극대화.

- DEV.to Storyblok 챌린지 참여 프로젝트.

결론

  • Storyblok MCP 서버자연어를 통한 CMS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, 보안성 강화Cursor 기반 토큰 관리를 지원합니다.
  • 개발자Node.js + TypeScript 기반 코드를 확장해 사용할 수 있고, 마케터자동화된 작업 흐름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실무 적용 시: Storyblok API와 MCP 프로토콜을 활용해 AI 도구와의 통합을 검토하고, Cursor를 통해 보안 관리를 강화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