풀타임 개발자로의 여정: DSA & 웹 개발 경험 - 3부

기술에서 배운 것: 학생에서 풀타임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의 여정 - 3부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, 시스템 설계, DevOps

대상자

  • 소프트웨어 개발 초보자, 인턴십 후 풀타임으로 전환을 원하는 개발자
  • 레이아웃 경험이 있는 개발자 및 커리어 전환을 고려하는 사람들
  • 난이도: 중간 (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략적 성장 경로 설명)

핵심 요약

  • DSA 및 웹 개발이 인턴십에서 풀타임으로의 전환에 핵심 역할을 함 (강조: DSA, Web Development)
  • MERN 스택 (MongoDB, Express, React, Node.js) 및 PostgreSQL, Python을 기반으로 한 기술 스택 활용
  •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스케일러블 시스템 설계 경험을 통해 실무 역량 강화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인턴십과 레이아웃의 전환

  • Scaler 인턴십을 통해 DSA 및 웹 개발 기초를 다짐
  • 레이아웃 후 2개월 내 풀타임 고용 목표 설정 (결과: Uolo에서 성공적으로 채용됨)
  • 인터뷰 준비 과정에서 DSA 문제 해결 능력웹 개발 실무 경험이 핵심 요소로 작용

2. Uolo에서의 풀타임 역할 및 훈련

  • 3단계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MERN 스택 기반 프로젝트 개발 경험 쌓음
  • Clean Architecture코드 가독성 강조, 실무 요구사항 충족 기술 습득
  • ERP 팀으로의 이동 후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이해 및 테스트 작성 역량 강화

3. 시스템 설계 및 확장성 고려

  • 스케일러블 코드 작성모듈화 설계 경험, 리더의 피드백을 통한 개선
  • RabbitMQ 도입 및 SQS 큐 마이그레이션 경험, 생산성 지원 티켓 처리 능력 향상
  • 분산 시스템DevOps 분야에 대한 향후 성장 목표 설정

4. 레이아웃 후의 책임과 성장

  • 반드시 제품 소유권을 갖게 되며, 코드 품질에 대한 추가 검토 및 테스트 요구
  • 비정상적인 작업 (동영상 처리 파이프라인, 사용자 보고서 생성 등)을 통한 기술 범위 확장
  • 다른 팀과의 협업을 통해 Uolo 제품 생태계 전반 이해

5. 미래 목표 및 전략

  • 시스템 설계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에서의 전문성 확대
  • 오픈소스 프로젝트교육 콘텐츠 제작을 통한 지식 공유 계획
  • 분산 시스템DevOps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과 실무 적용

결론

  • DSA 및 웹 개발 기초는 인턴십에서 풀타임으로의 전환의 핵심, MERN 스택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실무 역량 강화의 기반이 됨
  • 레시스턴스와 지속적인 학습이 커리어 성장의 핵심이며, 시스템 설계클라우드 인프라 분야에 대한 전문성 확대가 미래 목표
  • 실무에서의 책임감, 협업, 확장성 고려는 기술 외에도 중요한 성장 요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