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pabase에서 .eq()와 .match() 메서드의 차이 이해
카테고리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서브카테고리
웹 개발
대상자
초보 웹 개발자 및 Supabase 사용자
핵심 요약
.eq()
메서드는 특정 열과 값이 일치하는 단일 조건의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 사용됨 (예:id.eq(1)
).match()
메서드는 복수의 조건을 동시에 적용하여 복잡한 쿼리를 생성 (예:id.eq(1).email.eq("abc@abc.com")
)- Supabase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및 RESTful API 자동 생성 기능과 연동된 필터링 방법
섹션별 세부 요약
1. Supabase 개요
- Supabase는 PostgreSQL 기반의 오픈소스 BaaS (Backend as a Service) 플랫폼
- 제공 기능:
-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구독
- 사용자 인증 시스템
- 파일 저장소
- 자동 생성 REST API
2. `.eq()` 메서드
- 기능: 특정 열의 값과 일치하는 단일 조건 필터링
- 예시:
users.id.eq(1)
→ ID가 1인 사용자 검색 - 사용 시나리오:
- 고유 식별자 기반 단일 레코드 조회
- 상태 필터링 (예: status.eq("active")
)
3. `.match()` 메서드
- 기능: 복수의 열과 값 조합으로 복잡한 쿼리 생성
- 예시:
users.match({id: 1, email: "abc@abc.com"})
→ ID와 이메일 조건 동시 충족 - 사용 시나리오:
- 역할 및 상태 복합 조건 필터링 (예: role.eq("admin").status.eq("active")
)
- 여러 .eq()
호출 대신 단일 .match()
사용으로 쿼리 간소화
4. 실무 적용 및 최적화
- 효율성:
.eq()
는 단순 조건,.match()
는 복합 조건 시 성능 향상 - 데이터베이스 성능: 인덱스 최적화 및 대규모 데이터 처리 시
.match()
사용 권장 - API 설계 원칙: RESTful API 자동 생성 시
.eq()
/.match()
메서드 연동으로 개발 시간 단축
결론
- Supabase의
.eq()
와.match()
메서드를 구분하여 사용하면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및 REST API 활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. - 단일 조건은
.eq()
를, 복합 조건은.match()
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쿼리 설계 전략임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