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oosing Between Swagger and Postman for API Development

Swagger와 Postman: API 개발을 위한 적절한 도구 선택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웹 개발

대상자

API 개발자, 테스트 엔지니어, DevOps 팀, 프론트엔드/백엔드 개발자

핵심 요약

  • Postman직관적인 인터페이스자동화된 테스트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며, 팀 협업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강조.
  • Swagger설계 중심 접근을 통해 OpenAPI Specification 기반의 계약 중심 API 정의를 생성하고, Swagger UI를 통해 호환성 높은 문서화 가능.
  • Postman의 주요 제한점복잡한 기능의 학습 곡선, 리소스 소모, 프리미엄 기능의 유료 제한 등이며, Swagger설계 단계에서의 명확성문서화의 자동화가 강점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Postman의 핵심 기능

  • 직관적인 시각적 워크스페이스 제공, CLI 대신 GUI 기반 요청 생성 가능.
  • 요청 편집기에서 헤더, 파라미터, 바디를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.
  • 테스트 자동화를 위한 프리-리퀘스트 스크립트, 테스트 스크립트, 자세한 리포트 생성 기능 제공.
  • 환경 변수 시스템을 통해 개발, 스테이징, 프로덕션 환경 간 전환 가능.
  •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으로 API 엔드포인트 상태 추적 가능.

2. Postman의 한계

  • 기능 과잉으로 인해 초보자에게 학습 곡선이 가파름.
  • 대규모 컬렉션 사용 시 데스크톱 앱의 성능 저하 발생 가능.
  • 오프라인 기능 제한으로 협업 기능 사용 시 인터넷 연결 필수.
  • 프리미엄 기능유료 요금제 필요.

3. Postman의 기업 활용 사례

  • Google, Microsoft, Adobe, Salesforce, Slack, Airbnb, Uber 등 대규모 기업에서 API 테스트 및 모니터링에 활용.
  • Jenkins, New Relic, GitHub, Slack, Visual Studio Code 등과의 통합 가능성으로 CI/CD 파이프라인에 자연스럽게 삽입.

4. Swagger의 설계 중심 접근

  • OpenAPI Specification 기반으로 API 정의를 '계약'으로 처리, 모든 API 행동을 JSON/YAML로 명시.
  • Swagger UI를 통해 호환성 높은 문서화 가능, 개발자 및 제품 관리자 모두 이해 가능.
  • 설계 단계에서의 명확성을 통해 구현 및 통합 작업 효율성 향상.

결론

  • Postman테스트 자동화, 실시간 모니터링, 팀 협업이 필요한 프로젝트 개발 시 적합하며, Swagger설계 중심의 API 정의 및 문서화가 필수적인 프로젝트에서 유리.
  • Postman의 경우 Jenkins, GitHub, Slack 등과의 통합을 통해 CI/CD 파이프라인에 쉽게 삽입 가능. SwaggerOpenAPI Specification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 간 명확한 계약을 생성.
  •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테스트 중심 vs 설계 중심 도구 선택이 중요하며, 두 도구의 통합도 가능한 경우 최적의 결과 도출 가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