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목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인공지능, 머신러닝

대상자

  • *대상자:** 데이터 과학자, 기계 학습 엔지니어, 알고리즘 개발자
  • *난이도:** 중급 이상 (수학적 모델링과 최적화 알고리즘 이해 필요)

핵심 요약

  • "Krill Herd Algorithm"군집 지능(Swarm Intelligence)을 기반으로 한 최적화 알고리즘으로, 해양 생물 '크릴'의 이동 패턴을 모델링하여 설계됨.
  • 다중 목적 최적화(Multi-objective Optimization) 문제에 유리하며, 자연 선택과 유전자 알고리즘의 결합을 특징으로 함.
  •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개체의 이동, 번식, 생존 확률을 시뮬레이션하여 해의 공간 탐색 효율성을 극대화.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**알고리즘의 영감 출처**

  • 크릴 생물의 생태학적 특성(이동, 번식, 먹이 탐색)을 기반으로 군집 행동 모델링.
  • 자연 선택과 유전적 진화 개념을 최적화 문제 해결에 적용.
  • 군집 내 개체 간 상호작용을 통해 전역 최적해 탐색 가능.

2. **알고리즘의 핵심 구성 요소**

  • 개체 이동 방정식: v_i(t+1) = v_i(t) + ω * (x_i^best - x_i(t)) (속도 업데이트 공식).
  • 생존 확률 계산: 환경 적합도(Fitness Function) 기반으로 개체 생존 여부 결정.
  • 유전자 교환 메커니즘: 다른 개체의 유전자를 복제하여 다양성 유지.

3. **응용 분야 및 장점**

  • 공학 최적화(설계, 제어), 금융(포트폴리오 최적화), 에너지(배터리 관리) 등에 활용.
  • 전통적 유전 알고리즘 대비 빠른 수렴 속도높은 해의 질 보장.
  • 다중 목적 최적화에서 Pareto 최적해 집합 생성 가능.

결론

  • Krill Herd Algorithm복잡한 최적화 문제에 효과적이며, 유전자 알고리즘과의 결합을 통해 다양성과 수렴 속도 균형 달성.
  • 모델링 시 '개체 이동 방정식'과 '생존 확률 계산'을 반드시 구현하고, 환경 적합도 함수를 정확히 정의해야 성능 극대화 가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