객체지향 프로그래밍으로 Swift 마스터링: 초보자부터 고급까지

객체지향 프로그래밍(OOP)을 활용한 Swift 마스터링: 초보자부터 고급까지

카테고리

프로그래밍/소프트웨어 개발

서브카테고리

앱 개발

대상자

Swift 개발자, 특히 iOS 앱 개발자

난이도: 중급~고급 (기초 개념부터 고급 패턴까지 포함)

핵심 요약

  • OOP 핵심 개념(캡슐화, 상속, 다형성, 추상화)과 Swift에서의 구현 방식 강조
  • 클래스 vs 구조체(Structs) 비교 및 final 키워드, ARC(Automatic Reference Counting) 기능 설명
  • 실무에서 피해야 할 실수(리텐션 사이클, 과도한 상속)와 MVVM, 전략 패턴 등 주요 디자인 패턴 적용 방법

섹션별 세부 요약

1. OOP 개념 정리

  •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 보호 및 접근 제어 가능
  • 상속을 통해 코드 재사용성 향상, final 키워드로 상속 제한 가능
  • 다형성은 프로토콜과 AnyObject를 통해 구현 가능
  • 추상화는 인터페이스 정의와 구현 분리로 실현

2. 클래스 vs 구조체: Swift에서의 차이점

  • 클래스는 참조 타입(Reference Type), 구조체는 값 타입(Value Type)
  • deinit 메서드로 메모리 해제 가능(리텐션 사이클 방지)
  • ARC가 자동으로 메모리 관리, weakunowned 키워드로 순환 참조 해결

3. 실무 패턴 및 실수 피하기

  • 리텐션 사이클은 강한 참조로 인해 발생, weak/unowned 사용 권장
  • 과도한 상속은 유연성 저하, 컴포지션 대신 사용
  • MVVM 패턴은 View와 ViewModel 분리, 전략 패턴은 동적 행동 구현

4. 디자인 패턴 실전 적용

  • 싱글톤(Singleton) 패턴은 전역 상태 관리, lazy 변수로 초기화
  • 팩토리(Factory) 패턴은 객체 생성 로직 분리, 전략(Strategy) 패턴은 알고리즘 교체 가능
  • MVVM은 두 가지 방향 데이터 흐름 관리(One-way Data Flow)

결론

  • final 키워드를 적절히 사용해 성능 최적화
  • 리텐션 사이클을 weak/unowned로 방지
  • MVVM전략 패턴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 유연성 확보
  • Swift의 ARC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메모리 관리에 주의
  • 디자인 패턴을 적절히 선택해 코드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 향상